에너지 수요 효율화, 제1의 에너지원
정부,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 발표

정부는 23일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는 23일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에너지 수요 효율화가 탄소중립과 미래 성장동력 등 여러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정부는 산업·건물·수송 부문별 에너지효율 현황을 평가하고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소비가 많은데 원단위 효율은 낮아서 효율 혁신과 꼼꼼한 관리가 꼭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정부에 따르면 산업부문에서는 에너지 다소비 8대 업종에서 30대 기업의 에너지효율 혁신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상업 공공건물의 에너지 소비와 원단위 관리가 시급하고 중대형 상용차와 전기차에 대한 효율 관리 역시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 에너지 수요 효율화, 제1의 에너지원

하나씩 짚어보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에너지 공급에 불안이 커지면서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에너지 수요 효율화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등도 에너지 수요 효율화를 통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에너지효율은 공급 위주의 에너지정책을 보완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에너지 수요 효율화는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IEA가 2050년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효율 향상이 전체 감축량 중 37%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고 재생에너지가 32%로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주요 국가들은 에너지 수요 효율화를 제1의 에너지원으로 인식하고 대응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 효율화는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도 계속 중요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 에너지효율 시장도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한 에너지 수요 효율화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기존 효율 시장은 2020년부터 2027년 동안 308조 원에서 467조 원으로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디지털 효율 시장은 같은 기간 78조 원에서 192조 원으로 146%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 정부,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 발표

이에 정부는 23일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리나라는 세계 10위 에너지 다소비국이자 저효율 소비국으로, 국가 전체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1.7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사용 중이며, 에너지원단위(효율)는 OECD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에너지원단위는 경제활동에 투입된 에너지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부가가치 대비 에너지사용량으로 계산한다.

독일과 일본 등 선진국들은 경제가 성장하면서도 에너지 소비가 감소하는 ‘탈동조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독일은 2000년을 ‘100’으로 봤을 때 2019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126으로 증가했지만 에너지 소비는 96으로 감소했다. 일본도 2019년 GDP는 116으로 늘어난 반면 에너지 소비는 83으로 줄었다. 하지만 한국은 다른 선진국과 달리 경제성장과 에너지 소비가 각각 205와 143으로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국내 에너지 소비를 부문별로 보면, 2019년 기준 전체 에너지 소비의 62%를 차지하는 산업부문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건물과 수송부문 에너지 소비도 증가 추세다. 산업부문에서는 제조업의 에너지 소비가 약 90%를 차지하며, 제조업 중에서는 철강과 석유화학, 정유 등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 소비가 약 80%에 이른다. 

◇ 산업부문, 8대 업종 30대 기업 에너지효율 혁신 중요

정부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에너지원단위는 소폭 개선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하다. 2019년 기준 국내 제조업의 에너지원단위를 ‘100’으로 봤을 때 독일은 66을 기록했고, 일본과 영국은 각각 82와 80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원단위는 2011년에서 2019년 동안 1~2%가량 증가하면서 오히려 악화하고 있다. 사업장별로도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의 63%를 차지하는 30대 기업의 사업장의 에너지원단위가 대부분 나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기준 30대 기업의 사업장은 39개로 사업장별로 연간 20만TOE 넘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규모 시설들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는 상업용과 공공건물을 중심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상업·공공 건물 에너지 소비는 2000년에 13.6백만TOE에서 2019년 22.6백만TOE까지 늘어났다. 가정용 건물 에너지 소비는 같은 기간 21.2백만TOE에서 22.9백만TOE로 소폭 증가했다. 

한국과는 달리 독일과 일본의 상업·공공 부문 에너지 소비는 2011년 ‘100’을 기준으로 2019년에 각각 94와 88로 감소했다. 정부는 독일의 경우 부동산 거래 시 효율인증서 필수 서류화, 일본은 비주거 건물 효율 평가·등급화 등 적극적 관리로 에너지 소비 감소세가 뚜렷해진 것으로 진단했다. 또한 국내 건물 부문 에너지원단위는 건물 유형 전반에 걸쳐 소폭 개선되고 있지만, 상업·공공 부문은 여전히 주요국에 비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 서울·경기 상업·공공건물 에너지원단위 관리 시급

지역별로는 대형 건물들이 집중된 서울과 경기 지역이 에너지 소비 증가세를 주도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이 전국 상업·공공 건물 에너지 소비의 절반(48.9%)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용도별로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가 모든 건물 유형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가정 건물에서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가 68%를, 상업·공공 건물에서는 5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수송부문에서는 육상수송 에너지 소비가 2019년 기준 약 81%를 차지하는 가운데 차량 증가(특히 승용차)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승용차 원단위(연비)는 평균 연비 제도가 도입된 2004년부터 꾸준히 개선되다가 2013년경부터 차량이 대형화되면서 둔화하고 있다. 전기차도 배터리 중량이 증가하면서 원단위(전비)가 악화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같은 현황분석을 토대로 “8대 업종 30대 기업의 에너지효율 혁신이 중요하고, 서울·경기 지역의 상업·공공건물의 에너지 소비와 원단위 관리가 시급하며, 중대형 상용차와 전기차에 대한 효율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어 에너지 효율화 정책 현황을 평가하고 △산업, 가정·건물, 수송 등 3대 부문 수요 효율화 혁신 추진, △디지털 수요관리 확산 및 추진체계 정비 등 두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에너지 다소비 산업현장 효율 혁신 본격화, △자발적 참여와 제도에 의한 가정·건물 효율 혁신, △친환경 미래차 추세에 맞춘 수송부문 효율 제도 정비, △디지털 수요관리 기술혁신 및 신산업기반 조성, △ 거버넌스 및 정책 기반 정비 등 5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후속 기사에서는 정부가 발표한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의 5대 정책 방향에서 제시한 정책들을 5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smkwon@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