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플라스틱 제품 버리는 방법
정확한 정부 지침과 분리수거·선별 시스템 개선돼야

아무리 열심히 분리배출하더라도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제품이 있다. 바로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아무리 열심히 분리배출하더라도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제품이 있다. 바로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탈플라스틱의 해법 가운데 하나는 자원순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이미 발생한 생활 속 폐기물을 어떻게 재활용해서 자원화하느냐에 따라서 소각되고 매립되는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다. 자원순환을 통한 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은 궁극적으로 탄소중립과도 맞닿아 있다.

우리가 열심히 분리수거에 동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소비자들은 적극적인 분리배출 참여를 통해서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다. 아무리 열심히 분리배출하더라도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제품이 있어서다. 바로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이다. 작은 플라스틱 제품들은 선별 과정에서 그냥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 작은 플라스틱 제품 버리는 방법

페트병 ‘뚜껑’, 음료 ‘빨대’, 배달음식 포장을 뜯을 때 쓰는 작은 플라스틱 칼인 ‘실링칼’, 빵 비닐 ‘고정 클립’ 등 작은 플라스틱 제품들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 

크기는 작아도 플라스틱이니까 플라스틱 분리배출함에 버려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작은 플라스틱 제품은 어차피 쓰레기 소각장으로 간다더라는 얘기를 근거로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작은 플라스틱 제품들은 상황에 따라 버리는 방법이 달라진다. 앞에서 예로 든 제품 위주로 한번 살펴보자. 

먼저 페트병 뚜껑이다. 페트병 뚜껑은 소비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대표적인 작은 플라스틱 중 하나다.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가 시행되면서 ‘페트병을 납작하게 압축한 뒤 뚜껑을 닫아서 버리라’는 지침을 따르다가도 작은 플라스틱 병뚜껑은 재활용이 안 된다는 얘기에 갈팡질팡하게 된다. 일부 제로웨이스트샵이나 단체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작은 병뚜껑만 따로 수거해 치약짜개 등으로 자체적으로 재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한국폐기물협회 관계자는 “엄밀히 말하면 페트병 뚜껑은 재활용이 안 되는 건 아니다”라며 “아파트처럼 일반 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배출하면 재활용이 되지만 단독주책처럼 큰 비닐에 모아서 수거하게 되면 수송되는 과정에서 섞여버려 재활용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때문에 낱개로 배출하게 되면 종량제봉투에 배출하거나 모아서 기부 받는 곳에 기부하는 방식을 권한다”고 답했다.  

최근 늘어난 배달음식과 함께 사용량이 증가한 실링칼은 어떨까. 큰 배달용기는 씻어서 내놓기라도 한다지만 작은 실링칼은 분리배출이 애매하게 느껴진다. 한국폐기물협회에 따르면 이 역시 거주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폐기물협회 관계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플라스틱 수거함이 있어서 배출이 가능하지만 단독주택이나 상가처럼 재활용품을 통합배출하는 곳에서는 선별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작은 경우 종량제봉투에 버려달라”고 말했다. 이는 실링칼뿐만 아니라 빵 비닐을 고정하는 클립 등 작은 플라스틱 제품 모두에 해당한다. 

다만 작은 플라스틱으로 재활용이 어렵다고 알려진 빨대의 경우 빨대 안에 이물질이 끼일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한다. 

◇ 정확한 정부 지침과 분리수거·선별 시스템 개선돼야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분리수거 시스템과 선별장 여건상 작은 플라스틱을 이렇게 분리배출하라고 정확하게 말하는 것이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태희 자원순환사회연대 국장은 작은 플라스틱 분리배출과 관련해 “보통은 선별장에 가도 걸러지지 않다 보니까 이야기하는 것이 어렵고 애매하다”면서 “투명페트병의 경우 압축해서 뚜껑을 닫으면 부피가 줄어들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아서 뚜껑을 닫아서 버리라고 하는 건데 이 경우 선별과정에서 분리가 되긴 된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플라스틱 뚜껑의 경우 페트병과 같이 있으면 압축해서 닫아서 같이 버리면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플라스틱 방앗간처럼 재활용 하는 곳이 있다면 그곳에 갖다주는 것이 가장 좋다”면서 “그밖에 실링칼이나 렌즈 케이스 등 너무 작은 플라스틱은 사실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게 낫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분리배출이 헷갈리고 재활용도 어려운 작은 프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업계 내에서는 정확한 정부 지침과 시스템 개선이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여건상 선별장에서 손으로 집어서 선별하는 ‘수 선별’이 이뤄지다 보니까 작은 플라스틱 재활용이 어려운 건데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손으로 하다 보니까 작은 플라스틱이 잔재물로 남게 된다. 일부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작은 플라스틱 선별까지 가능한데 이처럼 선진화된 선별 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무엇보다 정부 지침이 깔끔하게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지난해 국정감사 때도 언급된 바 있다.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강은미 정의당 의원은 지난 10월 5일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생활폐기물 분리수거 정책 문제’를 지적하며 환경부에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강은미 의원은 “시민들이 물로 씻어서 용기를 분리배출했는데 정작 선별장에서는 부피가 작고 크기가 작아서 그냥 쓰레기소각장, 시멘트공장으로 보내진다”며 부피가 작은 재활용품이 분리수거가 되어도 선별장에서 선별이 되지 않고 있는 문제를 지적했다. 

지자체별로 다른 지침 문제도 언급됐다. 강 의원은 “오피스텔이나 원룸의 경우 유형별로 분리할 수 있는 시설이나 용기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라며 “원룸의 경우 분리수거함 설치 자체를 의무화하는 방안과 지자체별 지침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환경부가 통일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환경이 열악한 공공선별장의 경우 설비보완 등 예산지원을 확대해 재활용률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지자체와 논의해 분리수거 정책 방안을 찾겠다”고 답한 바 있다. 

플라스틱은 왜 이렇게까지 미움 받는 소재가 되었을까요. 기업은 플라스틱 대책에 과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가 정말로 바라는 탈플라스틱 방향은 무엇일까요.

플라스틱 하면 다양한 걱정과 물음표가 따라옵니다. 썩지 않는 플라스틱이 안고 있는 문제는 원금에 이자가 덩어리째 붙듯 늘어나 오늘날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있습니다.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각국의 정부와 기업과 개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탈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지금 당장’ 실천해야 하는 과제가 되었습니다. ‘2022 탈플라스틱 프로젝트’는 이 시대가 안고 있는 플라스틱 문제와 기업이 어떻게 현실적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 또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기획되었습니다. 2주에 1회씩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산업계 안팎의 다양한 관점과 함께 탈플라스틱을 위한 실천방안을 짚어볼 예정입니다. [편집자주]

key@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