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원 규모 국책사업 수주… 2028년 완성 목표
기존 L-SAM 대비 방공 영역 3~4배 확대 기대
“주국방 기여·K방공망 수출도 주도”

전 세계적으로 다층 방공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지역에서 고고도 미사일 방어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차세대 고고도 요격미사일 개발에 본격 나선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방과학연구소와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II(L-SAM-II) 유도탄 체계종합 개발을 위한 1986억원 규모의 시제 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오는 2028년까지 개발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SAM-II는 성층권(고도 10~50㎞)을 넘어선 고고도에서 적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첨단 무기체계다. 기존 L-SAM이 성층권 이하에서 작동하는 것과 달리, L-SAM-II는 더 높은 고도에서 탄도탄을 격추할 수 있어 방공 영역을 3~4배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등 극소수 국가만 보유한 핵심기술
L-SAM-II의 핵심은 위치자세 제어장치(DACS)와 추진기관 기술이다. 특히 위치자세 제어장치는 10개의 추력 조절 밸브를 통해 직격요격체가 탄도탄을 정확히 직격 격추할 수 있도록 정밀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현재 한국을 포함해 미국 등 극소수 국가만이 보유한 최첨단 기술로 알려져 있다.
추진기관 역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수준의 고도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L-SAM보다 훨씬 강력한 추진력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더 빠른 시간 내에 요격 고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앛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국과연과 함께 L-SAM 대탄도탄 유도미사일(ABM) 체계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현재 양산을 준비 중이다. 이번 L-SAM-II 개발은 그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프로젝트다.
L-SAM-II가 완성되면 한국은 저고도부터 고고도까지 아우르는 완전한 다층 방공망을 구축하게 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이번 L-SAM-II 개발을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해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에 기여하고, 나아가 K-방공망 수출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 한화그룹, 美 정부로부터 오스탈 인수 승인 받아··· 호주 승인 남아
- K방산, 세계 4대 강국 현실화··· 수출 10조원 돌파 임박
- K방산에 쏠린 눈··· 30개국 해군 대표 MADEX 집결
- 한화, 캐나다 최대 방산전 단독 참가··· “60조 시장 공략”
- 한화 방산 3사, ‘기회의 땅’ 중남미 시장 개척 본격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친환경 기술 투자로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 한화에어로, 루마니아와 산학협력 강화··· “유럽 현지화 본격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국과연과 손잡고 ‘무인기 엔진 국산화’ 본격 시동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협력사와 손잡고 K방산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방산 맏형’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조원 유증에도 글로벌 입지 ‘흔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방산 수출·조선 호조”
- 한화, 천무 유도탄 현지 생산 선언··· 유럽 방산 시장 뒤흔들까
- “K9 신뢰, 레드백 기회’로··· 한화에어로, 에스토니아 맞춤 BMS 개발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