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온실가스 배출량, 국가 전체의 11.5% 차지
탄소중립 비전·로드맵 수립…중간 목표 구체성 미흡 평가
포스코,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권 대부분 무상할당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기업은 포스코로 지난해 포스코가 배출한 온실가스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1.5%를 차지했다.(사진=포스코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기업은 포스코로 지난해 포스코가 배출한 온실가스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1.5%를 차지했다.(사진=포스코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포스코가 지난 10년 동안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포스코와 같은 철강 기업은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이라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포스코는 2050년 탄소중립 비전과 로드맵을 수립하면서 주목받았다. 

포스코가 제시한 중간 목표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포스코는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권 대부분을 무상할당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탄소국경세 등 무역장벽이 현실화하는 가운데 한국의 철강제품 등 탄소 집약적 제품들이 수출에 타격이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포스코 온실가스 배출량, 국가 전체의 11.5% 차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기업은 포스코로 지난해 포스코가 배출한 온실가스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1.5%를 차지했다. 지난해 포스코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7849만톤이었고,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7960만톤으로 집계됐다.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산업 부문 배출량의 31%,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7%를 차지한다. 또한 전체 철강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포스코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70%이며, 현대제철까지 고려하면 두 기업이 국내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부분(약 92%)을 차지한다. 

포스코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에 7712만톤을 기록한 이후 큰 변화가 없다가 2019년에는 8060만톤으로 최고치로 상승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7567만톤으로 줄었다가 지난해에 다시 7849만톤으로 증가했다. 

포스코는 ‘2021 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를 통해 “조강 생산량은 기준년도 대비 37.6백만톤 대비 1.6% 증가한 38.3백만톤을 기록했으나, 스크랩, 펠렛 등 저탄소 원료의 사용과 고로, 파이넥스(FINEX) 조업효율 향상 등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는 기준년도 대비 2.1% 감소한 2.05톤(조강생산량 1톤당)으로 개선되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2011년 이후 줄곧 온실가스 배출량 1위 기업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포스코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 현대제철로 배출량은 2862만톤이었다. 이어 삼성전자(1449만톤), 쌍용이앤이 (1061만톤), 에쓰오일(1004만톤)의 순이었다.

포스코와 같은 철강 기업은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이다. 철강업은 철광석을 녹여 산소를 제거하고 철로 만드는 과정에서 석탄을 사용하며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최다배출 업종으로 꼽힌다. 

포스코의 경우 업종 특성으로 공정상에서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Scope1)가 전력 사용 등에 따라 간접 배출되는 온실가스(Scope2)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7849만톤) 중 직접배출량은 7710만톤, 간접배출량은 약 139만톤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자료=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그래픽=권승문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포스코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자료=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그래픽=권승문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 2050년 탄소중립 비전·로드맵 수립…중간 목표 구체성 미흡 평가

포스코는 2020년 12월 ‘포스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CFD)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기후행동 보고서’를 발간했다. 또한 수소환원제철 기반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 20%(사업장 감축 10%, 사회적 감축 10%), 2040년 50% 감축경로를 설정하고 탄소중립 비전을 구체화하고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중장기 종합 전략이 포함된 ‘2050년 탄소중립 기본 로드맵’을 수립했다.

전체적인 탄소중립 추진 방향은 중단기적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상용화하기 전에 전기로를 도입하고, 현재 가동 중인 설비를 활용해 저탄소 원료를 사용하며 저HMR 조업 및 CCUS 기술 개발 등을 중간단계(Bridge) 기술 개발을 통해 공정상에서의 석탄과 에너지 사용량을 줄인다는 것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수소를 기반으로 한 하이렉스(HyREX)-전기로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에 따르면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기존 상용화된 파이넥스 공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상용화 속도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수소환원제철포럼(Hydrogen Iron & Steel Forum)’을 개최해 국제적인 기술 개발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제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 

포스코는 탄소중립 로드맵에 2030년 탄소배출 목표에 포함된 사회적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저탄소 제품 공급, 부산물 자원화 확대, 이차전지 소재 공급 확대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투자자와 고객사 등 이해관계자 요구에 부응하여 시장경쟁력을 유지하고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겠다고 설명했다.

포스코 탄소중립 로드맵(자료=2021 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
포스코 탄소중립 로드맵(자료=2021 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

◇ 포스코,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권 대부분 무상할당

하지만 포스코가 제시한 중간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또한 최근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제도(CBAM)가 본격화되면서 한국의 탄소 집약적 제품들이 타격이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장혜영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의 의뢰로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한국은 EU와 미국의 탄소국경제한에 취약한가?(Is South Korea Vulnerable to EU and US Carbon Border Restrictions?)”라는 보고서를 내고 “한국의 철강과 같은 탄소 집약적 제품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유럽과 미국의 엄격한 기후 정책의 시행으로 인해 취약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EU의 탄소국정조정제도와 미국의 청정경제법(Clean Competition Act,CCA)은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한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한국 배출권거래제의 광범위한 무상할당과 EU와 한국 배출권 가격의 큰 차이가 한국 수출의 취약성을 증가시킨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의 철강 제품이 탄소 집약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EU CBAM과 CCA의 표적이 될 가능성 높다”고 지적했다.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물론, 최근 미국에서 발의된 CCA 법안 등이 통과될 경우 높은 무상할당 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배출권거래 제도로는 수출기업들이 막대한 비용을 치루는 것을 결코 막지 못한다는 경고인 셈이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포스코가 무상할당 받은 온실가스 배출권은 2021~2023년 동안 매년 7715만톤, 2024~2025년 기간에는 각각 7643만톤으로 나타났다. 포스코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7849만톤인 점을 감안하면 포스코는 2025년까지 온실가스 대부분(97.4~98.3%)을 무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만큼 수출기업으로서 비용을 감당하게 된다는 의미다.

장혜영 의원은 “우리나라 배출권 거래제도는 철강과 정유 산업 등에 배출권을 무상할당하고, 배출량 증가보다 더 큰 폭으로 할당량을 설정하는 등 지나치게 관대하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배출권 할당 총량과 유상할당 비율을 확대해야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무역에서의 수출기업의 피해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smkwon@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