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해상풍력 관련 항만 지원자금 전액 취소
글로벌 기업 뿐만 아니라 韓 연관 기업도 여파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연일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업계 전반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올해 들어 신규 개발과 지원책이 잇달아 철회되면서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 교통부는 전국 12개 항만과 해상풍력 지원 인프라에 배정됐던 6억7900만 달러(약 9450억원)의 연방 자금을 일괄 취소했다. 이는 바이든 정부의 핵심 육성책이었으나, 트럼프 정부는 "자원을 낭비한다"며 "다른 항만 등 해운 산업 재건에 쓰겠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연방대륙붕(OCS) 내 모든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 대한 신규·갱신 임대 및 허가를 임시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기존 임대계약은 바로 취소하지 않지만, 생태·경제성·환경성 전면 재검토를 지시하는 등 이미 진행 중인 사업에도 불확실성을 가중시켰다.
최근에는 80% 이상 시공이 진행된 로드아일랜드 해상풍력(Revolution Wind) 등 일부 대형단지에 '공사 중지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안보 우려와 해양권과 공해 사용에 대한 타당성 부족 등을 명분으로 들었으나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아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해상풍력의 해상풍력의 경제성과 환경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산업 자체를 외국 기술 및 자본에 의존하는 불신산업으로 규정했다. 이에 따라 수만 개의 관련 일자리 및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가 위협받고, 캘리포니아·버지니아·메릴랜드 등 주요 항만 프로젝트가 직격탄을 맞았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정책이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 자체를 막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유럽 기업들은 이미 사업 비중이 유럽에 집중돼 있어 미국 리스크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며, 전기화 시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며, 풍력 발전은 결국 시장에서 결정될 문제라고 보는 시각이다.
◇글로벌 해상기업 타격…한국도 영향 받아
트럼프 정부의 해상풍력 제재로 인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유럽 및 한국 기업들의 전략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노르웨이의 에퀴노르의 엠파이어윈드1(Empire Wind 1)과 덴마크 오스테드의 선라이즈윈드(Sunrise Wind) 등 이미 허가를 받은 프로젝트도 중단 또는 지연됐다. 미국 자산가치에서만 17억 달러 손실을 기록했다.
네덜란드 SIF의 기초구조물, 덴마크 베스타스의 터빈 공급망도 연쇄 중단됐고, 해상풍력 전력망 연결 기술을 갖춘 이탈리아 프리즈미안은 미국 공장 설립을 포기했다. 이에 따라 업계 전체적으로 미국 자산을 정리하거나 유럽과 신흥국으로 투자 다변화하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한국 기업들도 신재생 기자재 제조업 및 사업개발업체들이 프로젝트 취소, 연방 보증·지원 중단에 직면해 미국 진출·투자 확대가 난항을 겪고 있다. 씨에스윈드와 같은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보조금 혜택을 받고 있어 정책 변화에 민감하다. 현지화 전략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기존 투자 회수와 신규 투자 결정이 어려워 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친화석연료 정책, 급격한 규제환경 변화 등 리스크 확산 속에 영국·독일 같은 유럽 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 정치 불확실성이 낮은 시장으로 무게중심을 옮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대중공업, SK, 한국전력 등은 북미 프로젝트뿐 아니라 상품·기술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현지 기업과의 제휴 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