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친환경에너지 대상 연일 비난 수위 높여
미국 내 값싸고 경쟁력 높은 전력…산업 위축 가능성 낮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 신재생에너지 태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미지=픽사베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 신재생에너지 태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미지=픽사베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사기극이라고 몰아붙이며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해상풍력 지정 구역(WEA)까지 무효화하는 등 반 친환경에너지 행보를 강화하고있지만, 미국 내 업계는 발전 단가 경쟁력과 기업 수요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 "풍력·태양광은 사기극" 연일 재생에너지 비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여러 차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였다. 지난 7월 스코틀랜드 방문 당시 풍력 발전기를 두고 "가장 비싼 형태의 에너지"라며 "중국산이 대부분이고 8년이면 녹슬고 썩는다. 끌 수도 태울 수도 없다"고 혹평했다. 이어 "이 모든 게 사기극"이라는 표현을 반복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외대륙붕(OCS) 내 해상풍력 지정 관행을 종료하고, 기존 지정 구역을 전면 무효화했다. 이는 오바마·바이든 행정부 시절 확대해온 해상풍력 개발 정책을 정면으로 뒤집은 것이다. 여기에 풍력과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운영하는 주(州)들에서 에너지 비용이 크게 증가했다면서 최근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의 ‘레볼루션 윈드’ 풍력발전 건설 활동 중단 요구 서한 발송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기조는 화석연료 선호, 민주당식 친환경 정책 폐기, 국제 경쟁 구도 등 정치·경제적 배경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 "경쟁력 높은 재생에너지, 미국 내 성장 막기 어려워"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미국 재생에너지 산업의 위축 가능성을 낮게 본다. 풍력·태양광 발전 단가는 이미 석탄·천연가스 대비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대기업과 미국 주요 기업들이 RE100·탈탄소 목표를 내세우며 대규모 전력구매계약(PPA)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미국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1.5%에 달했으며, 에너지정보청(EIA)은 2050년 42%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크게 증가하자 값싸게 전력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 신규 설치가 산업 확대를 이끌고 있다.

이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취임 첫 날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으로 60일간 신규허가를 동결시켰지만 결국 ‘해상풍력을 제외하면’ 모든 프로젝트가 다시 재개됐다"며 "전체 태양광 프로젝트 중 연방정부토지 설치 비중은 4%에 불과해 승인 거부 권한도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 기업도 현지 투자 강화하며 시장 공략

트럼프 정부의 재생에너지 축소 정책 등 압박 속에서도 한국 기업들은 공급망 현지화, 기술·시설 확장, 현지 정책 대응 강화 등으로 미국 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을 이어가고 있다.

OCI홀딩스는 미국 자회사 OCI에너지를 통해 선로퍼·페퍼·럭키7 등 480MW(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매각을 마무리했다. AI 데이터센터 수요와 2028년 투자세액공제(ITC) 종료를 앞둔 단기 개발 수요가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한화큐셀 아메리카는 대외 소통을 강화하며 트럼프 정부의 기조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로비 활동을 강화하며 정부에 기업 입장을 전하고 있다. 미 상원 로비활동 공개정보(Lobbying Disclosure)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상반기에만 160만달러(약 20억원)를 로비 자금으로 투입했다. 이를 통해 북미 태양광 정책에 목소리를 높이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