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군성 장관, HD현대重·한화오션 방문해 사업장 시찰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지난달 30일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을 각각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맞이하며, 한미 조선업 협력 강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만남은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조선업 재건 정책에 발맞춰,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 해군력 강화와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하면서다.
HD현대와 한화오션은 미국 진출과 기술 협력, 조선소 인수 등 다각적 전략을 구사 중이다. 미국 역시 중국과 해양 패권 경쟁 심화, 조선업 기반 약화 등으로 동맹국과의 협력 필요성이 커진 상황이다.
“미국 조선 재건에 힘 보탤 것”··· HD현대 기술력 적극 어필
1일 업계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펠란 장관에게 HD현대중공업이 보유한 이지스함 등 특수선 건조 역량과 첨단 디지털 조선소 시스템을 직접 소개했다. 특히 지난해 인도된 정조대왕함과 올해 진수 예정인 다산정약용함 등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을 선보이며, HD현대의 선박 설계·건조 기술력과 생산성을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한국과 미국은 최고의 동맹국”이라며 “HD현대의 기술력과 선박 건조 능력으로 미국 조선산업 재건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그는 방명록에 “We will build US shipbuilding Industrial Base Together(우리는 함께 미국 조선업 기반을 세울 것)”이라고 적어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미 시너지 극대화··· 미 해군 전략 수요에 완벽 대응”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펠란 장관에게 직접 선박 블록 조립공장과 유지·보수·정비(MRO) 중인 미 해군 7함대 급유함 '유콘'을 안내했다. 유콘함은 한화오션이 지난해 수주한 프로젝트로, 정비를 마치고 다음 달 출항 예정이다.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맞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조 체계를 완비했다“며 ”미국 내 여러 조선소를 확보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북미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현장 시찰을 마친 후 펠란 장관은 ”우수한 역량을 갖춘 조선소와 협력한다면 미 해군 함정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미 조선업 협력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동맹 강화에 기여할 것임을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만남을 계기로 MRO 사업은 물론 미국 내 신규 함정 건조와 첨단 조선 기술 협력 등으로 협력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정기선·김동관-펠란 장관 회동은 한미 조선업이 단순한 수주 경쟁을 넘어 글로벌 해양안보 전략의 핵심 파트너로 도약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K조선, ESG 투자 확대··· ‘친환경 기술·넷제로’ 경쟁 본격화
- HD현대,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친환경 투자 가속
- KDDX 사업자 선정 지연에, 중소 협력업체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
- 조선 3사, '친환경' 자율운항선박 기술 경쟁 돌입
- 한화오션 친환경 컨테이너선 6척 수주··· 척당 역대 최고가 계약
- 트럼프 행정부 출범 2달··· 韓 경제에 던진 ‘양날의 칼’
- HD현대,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조선업 자동화 혁신 나선다
- 정기선, USTR 대표 만나 “美 조선 재건” 약속
- HD현대그룹, 시총 5위 도약··· 정기선 ‘선제적 미래 대응' 전략 통했다
- 한화오션 노사, 극한 대립 끝에 상호 고소·고발 모두 취하
- 김동관의 ‘트럼프 커넥션’··· 한미 관세 협상 판도 바꾸나
- 최태원·정기선, 빌 게이츠와 손잡고 SMR 상용화 앞장선다
-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임직원 안전, 타협 없다··· 3.5조 전격 투자”
- 7년 만에 급성장 이끈 정기선, HD현대 총수로 등극
- 정기선 회장 첫 공식 행보··· APEC서 ‘글로벌 조선업 미래’ 제시
- 정기선 HD현대 회장 “美 해양 패권 부흥 핵심 파트너 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