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ESG위원회 일원…‘고객 동맹’ 강조
금융소비자 보호·취약계층 교육 확대 지속
RE100 가입·스코프3 자율 공시 등 환경 목표도 ‘꼼꼼히’

<편집자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은 이제 사회규범과 같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다.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신(新)국제경제질서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선진국들은 기후공시와 공급망 규제 등 ESG의 기준을 강화해 새로운 무역규제의 칼로 들이밀 태세다. 결론 도출이 이미 가시화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도 일부 대기업와 같이 잘못된 조직문화, 비도덕적 마케팅, 경영진의 갑질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판이 무섭다. 한번 잃은 신뢰를 다시 얻기가 쉽지 않다. ESG경영의 중요성은 이제 경영전반에 전방위적으로 파고들고 있으며 그동안의 논의도 ESG를 ‘왜’(Why)’ 하는 지의 차원을 넘어 ‘무엇을(What)&어떻게(How)’ 하느냐로 확산하고 있다. 그 중심에서 가장 중요한 키를 쥐고 있는 사람은 당연 최고경영자(CEO)다.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과 시대적 요구에 맞춰 2022년 ESG경영에서 큰 성과를 거둔 기업과 CEO를 선별, 집중 조명한다.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출처=미래에셋증권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출처=미래에셋증권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이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ESG위원회에 직접 참여해 기업 전반의 ESG 활동을 살피는 한편 ‘고객 동맹’을 전면에 걸고,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RE100 가입 등 환경 목표도 잊지 않았다.

‘고객 동맹’ 강조…금융소비자보호, ‘교육’으로 해법 찾아

최현만 회장은 올해 초 신년사를 통해 ‘고객 동맹’을 강조하며 금융소비자보호를 경영 우선순위에 올렸다. 불완전 판매 근절 의지를 재차 다지는 한편 금융소비자 교육을 통해 근본적인  보호 해법 마련에 나섰다.

미래에셋증권은 금융소비자보호 총괄조직을 대표이사 직할로 편제했다. 최현만 회장이 직접 주관하는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한 이후 반기 1회 열리는 회의 결과는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규정화했다. 또한 CCO(Chief Consumer Officer) 산하에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소위원회, 고난도상품 승인위원회, 소비자보호 상품협의회 등을 운영해 금융소비자보호와 관련한 주요 사안에 대해 논의·심의를 하고 있다.

임직원 금융윤리 제고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업계 최초로 금융윤리인증제도를 도입했다. 약 4개월 간 커리큘럼을 개발했고, 공신력 확보를 위해 전문기관(한국금융소비자학회)과 지난해 10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임직원 윤리교육 및 인증시험은 올해 1월에 실시했다. 3538명의 임직원이 교육을 수료했고, 인증시험 응시자 중 3520명(99.6%)이 합격했다.

금융소비자보호의 근본적인 해법으로는 금융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금융투자사로는 유일하게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2회 연속 교육기부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교육 방법이나 대상자가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게 맞춤형 콘텐츠를 늘려가면서 금융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 교육기부 우수기관 인증제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사회 환원과 나눔 문화 정착에 앞장서는 공공기관 혹은 기업을 발굴해 교육기부 기관으로 공식 지정하는 제도다.

이외에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015년부터 ‘1사1교 금융교육’을 통해 390개 학교와 결연을 맺고 있다. 지금까지 약 8만6000명(22년 8월 말 기준)이 금융교육에 참여했다. 금융투자사 중 최대 규모다. 올해 5월에는 광운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에게 맞춤 금융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사내임원으로 구성된 금융교육 전문위원 제도를 실시해 중소벤처기업, 사회복지관 등에도 맞춤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청소년 교육에도 앞장서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고등학생을 위한 Hi-Stock(하이스톡) 교실, 사회보호종료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Hi-투자(하이투자) 챌린지 등을 시작하며 금융교육의 혜택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2025년까지 지속가능금융 ‘45조원’ 목표

투자사로써의 역할도 잊지 않았다. 오는 2025년까지 지속가능금융 45조원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투자와 운용으로 ESG 금융시장의 기반을 마련하여 환경·사회적 가치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 기준 ESG 관련 투자와 인수·자문·주선 금액을 비롯해 ESG채권 및 WM상품 잔고 등을 집계한 지속가능금융은 15조1928억원 규모다. 지난해 지속가능금융 목표를 10조원으로 설정했지만, 이를 조기 달성하면서 올해 목표치를 45조원으로 상향한 것이다.

성과도 분명했다. 미래에셋증권은 국내 증권사로써는 유일하게 한국ESG기준원과 서스틴베스트 ESG평가에서 모두 A등급을 획득했다. 지난 10월 세계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는 S&P Global이 발표한 ESG평가점수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다각화된금융(Diversified finance) 부문 글로벌 542개 기업 중 상위 1%대에 위치하는 6위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증권사 중 가장 높은 순위다.

또 지난해까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에 10년 연속 선정됐다. 해당 지수는 글로벌 상장기업 중 유동시가총액 상위 2544개 평가 기업을 대상으로 경제적 성과와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 상위 10% 기업을 선별해 발표한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는 사회책임투자(SRI)의 척도로도 활용된다. 미래에셋증권이 속한 금융서비스 부문의 경우 117개의 글로벌 평가 대상 기업 중 14개 기업만이 월드 지수에 편입됐다.

환경 목표도 ‘꼼꼼히’…RE100 가입·스코프3 자율공시 등

환경적 목표도 꼼꼼히 챙기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9월 국내 금융업 최초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에 가입하고, 2025년까지 사용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 재생에너지 시장에도 선제적으로 진입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돕기 위해 지난해 말 배출권 매매 업무를 개시하고, 최근에는 신규 사업 기회 선점을 목적으로 자발적 배출권 거래 신고를 완료했다. IB, 트레이딩 및 해외법인과의 시너지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은 2017년을 기점(baseline)으로 온실가스 저감 계획을 세우고 2050년 Net-Zero(넷제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Scope(스코프)1·2의 직·간접 배출량을 연간 3%, Scope3 기타 간접 배출량 연간 2% 감축을 목표로 설정해 관리 중이다. 투자자산 포트폴리오의 신규 석탄 투자는 배제하며 이미 투자된 석탄 익스포저(연관 금액)는 0%를 목표로 하고 있다. 

jdh@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