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10만1000원 인상·‘기본급 450%+1,050만원’ 성과금 지급
현대제철 “핵심 사업에 전사적 역량 집중할 계획”

현대제철 노사가 7개월에 걸친 긴 협상 대치 끝에 2024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마무리했다. 파업과 직장폐쇄라는 양측의 극단적 대립에서 경영 정상화를 위한 타협으로 방향을 전환한 이번 합의는 철강산업 전반의 위기 상황 속에서 노사 상생의 가능성을 열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인천·당진·순천·포항·하이스코)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 찬반 투표를 통해 노사 잠정 합의안을 최종 추인했다. 이로써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2024년 임단협 교섭이 완전히 종결됐다.
당진제철소 소속 노조는 투표율 98.98%에 찬성 57.86%(2375표), 반대 42.14%(1730표)로 가결했다. 순천 지회 역시 찬성 58.4%(188명)로 합의안이 통과됐다. 현대제철 노조 중 규모가 가장 큰 당진제철소 노조의 과반 찬성은 전체 합의안 타결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번에 합의된 내용은 임금 10만1000원 인상과 ‘기본급 450%+1050만원’의 성과금 지급을 골자로 한다. 성과금은 평균 2700만원 수준으로, 사측이 기존에 제시했던 안보다 일시금이 50만원 증액된 조건이다.
애초 이번 협상은 처음부터 난항이 예상됐다. 노조는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800만원’ 수준의 성과급을 요구한 반면, 회사 측은 ‘기본급 450%+1000만원’을 제시하며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현대제철은 지난 2023년 급격한 실적 악화를 겪었다. 매출은 23조2261억원, 영업이익은 1594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대비 10.4%, 80% 급감했다. 노조는 2023년 영업이익이 7983억원이었던 점을 들어 경영 악화를 이유로 성과급을 축소하는 것에 반대했다. 하지만 회사 측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1595억원으로 급감한 상황에서 노조 요구안대로 성과급을 지급할 경우 적자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협상 교착 상태가 지속되면서 노조는 지난 1월 말부터 부분 파업에 돌입했고, 회사는 이에 대응해 냉연 공장의 전처리 설비에 대한 부분 직장 폐쇄 조치로 맞대응했다.
갈등이 심화되자 회사는 지난 3월 14일 비상경영을 선언하며 전 임원 급여 20% 삭감, 해외 출장 제한, 전사적 희망퇴직 시행 등 고강도 긴축 조치를 단행했다. 4월부터는 인천 철근공장의 한 달간 전면 가동 중단까지 결정했다.
이에 노조는 무기한 총파업이라는 극단적 선택보다 현실적 해법을 선택했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 결과가 조합원 기대에 못 미치는 부분이 있다”며 “글로벌 관세 전쟁, 철강 시황 악화 등 복합 위기 속에서 조합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노사 모두에 완전한 만족을 주지는 못했지만, 현실적인 타협점을 찾았다는 점에서 ‘위기 속 상생’의 한 모델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며 “현대제철은 이번 임단협 타결을 계기로 핵심 사업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제철은 중국산 저가 공세와 글로벌 수요 둔화로 1분기 실적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1분기에 600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하나증권은 637억원, 상상인증권은 619억원, BNK투자증권은 727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내다봤다. 별도 기준으로는 1000억원에 가까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이번 임단협 타결로 현대제철은 경영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하고 정상화의 첫발을 내디뎠다”며 “그러나 실질적인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포스코, 현대제철 美 공장 투자 검토··· '관세대응 & 탄소중립' 실현할까?
- “후판 가격이 70만원대?”··· 철강 ‘울고’ 조선 ‘웃다’
- "위험" vs "미래 성장성"··· 현대제철 美 전기로 제철소 건립에 갑론을박
- 현대제철, 인천 철근 공장 전면 가동중단···시황 악화 속 특단 조치
- 현대제철이 미국에 짓는 제철소는 '친환경' 전기로··· 8.5조 투자
- 현대제철, 비상경영 체제 전환··· “복합위기 속 생존 위한 결단”
- 현대제철 노사 임단협, 30분 만에 결렬··· 노조, 즉각 파업 재개 선언
- 현대제철, 보름 만에 직장폐쇄 해제··· 오늘 임단협 교섭 재개
- 현대제철, 철강사 최초 美 원자력소재 품질인증··· “국내외 원자력 수주 확대”
- 현대제철, 1분기 적자에도 친환경·ESG 경쟁력 강화
- 현대제철, 철근 저탄소 제품 인증 취득··· “건설용 강재 탄소저감 제품 다각화”
- “전기로·고로 혁신으로 미래 녹색철강 인정받아”··· 현대제철, CDP 기후변화 대응 우수기업 선정
- “200개 협력사와 교섭한다고?”… 철강업계, 노란봉투법 시행에 대응 전략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