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재가동 목표 기존 노후 원전 안전 보장되면 계속운전 가능성 커져
AI·데이터센터 전력폭증 속 안전성 충족한 원전으로 전력 확보 의미 가져

인공지능(AI) 확산과 데이터센터 확충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고리원전 2호기 계속운전 승인을 받으며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믹스가 명확해졌다. 사진은 고리원자력발전소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인공지능(AI) 확산과 데이터센터 확충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고리원전 2호기 계속운전 승인을 받으며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믹스가 명확해졌다. 사진은 고리원자력발전소 전경/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전 2호기가 세 차례 심의 끝에 2033년까지 계속운전 승인을 받았다. 인공지능(AI) 확산과 데이터센터 확충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안전성을 확보한 기존 원전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평가가 나온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안전성 평가와 주민 의견 수렴, 방사선 영향 검토 등을 종합해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며 계속운전을 의결했다. 2023년 4월 운영허가 만료로 정지된 고리 2호기는 2년 반 만에 재가동 절차에 들어가며, 2026년 2월을 목표로 운전 재개를 준비한다.

이번 결정은 이재명 정부가 강조해온 '실용적 에너지 믹스' 기조를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AI 3대 강국 도약을 내건 정부 입장에서, 대형 데이터센터·GPU 클러스터 운영에 필요한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원전 유지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대욱 한수원 사장직무대행은 "계속운전은 AI, 데이터센터 등 미래 전력 수요 증가에 대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리 2호기 적기 재가동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도 한 언론을 통해 "30년 전에 원전을 지었더라도 수명 연장을 할 때는 최신 기술 기준을 적용해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며 "수명 연장을 할 때 최신 기준으로 내부 설비들을 바꾼 뒤 신청하고 해당 기준으로 계속운전 여부를 판단한다. 원안위가 안전하다고 판단했으면 그 기준에 맞추지 않았겠나 싶다"고 말했다. 

"AI 전력수요 감당하려면 기존 원전 필수"… 노후 원전 9기 심사도 탄력 

고리 2호기의 설비 용량은 685MW로 운전 중단 기간엔 LNG 발전으로 대체해 비용 부담이 크게 늘었다. 현재 원전 발전 단가는 LNG 대비 월등히 낮아 경제성 측면에서도 연장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재가동 시점은 다소 늦춰졌지만, 이번 승인으로 다른 노후 원전들의 계속운전 심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다음 달 운영기간이 만료되는 한빛 1호기를 포함해, 현재 계속운전을 신청한 원전은 총 9기다. 고리2호기를 포함한 이들의 발전용량은 8.45GW로 전체 원전 발전용량(26.05GW)의 약 3분의 1에 달한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AI 시대에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선 기존 원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판단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엔비디아가 한국에 우선 공급하기로 한 26만장 규모의 GPU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은 냉각·인프라까지 합할 경우 최대 1GW까지 필요하다는 분석도 정부 입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탈탄소 기조를 고려하면 안정적으로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선 안전이 확보된 기존 원전을 활용하는 방안은 여전히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35 NDC 달성을 위해서도 원전이 필요하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61%를 줄이겠다는 목표를 확정했다.

앞서 정부는 풍력·태양광 보급을 빠르게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설비 건설과 계통 연계까지는 일정 기간 시간이 소요된다. 업계에서는 단기간 내 1GW급 대규모전력을 화석연료 없이 공급하기 위한 현실적 선택지는 안전성이 확보된 원전 활용이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재생에너지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비용이 싸지기 전까지 중간 가교의 역할을 기존 원전을 한다는 의미다.

김성환 장관도 최근 "기후위기 시대에 탈탄소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조화롭게 활용해 전력공급과 탄소감축을 동시에 달성하는 에너지 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