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석포제련소 이전 움직임에 봉화·태백 주민 총궐기
주민들 “생존권 위협하는 지역 말살 정책”··· 이전 반대

경상북도가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움직임에 속도를 내자 봉화군 석포면 주민들과 강원 태백 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이번 이전 논의를 “사실상 폐쇄이자 지역 말살 정책”이라고 규정하며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었다.
지난 25일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는 수백 명의 주민들이 모였다.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태백시 현안대책위원회,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봉화군 협의회 등 세 단체가 공동으로 주민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날 집회 참가자들은 “석포제련소 이전은 곧 폐쇄를 뜻한다. 제련소가 사라지면 봉화와 태백의 지역경제는 공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부가 환경단체의 주장에만 귀 기울이고, 수십 년간 이어진 지역의 현실과 주민 생존권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석포제련소 이전 반대 주민들 “50년간 지역 떠받친 생명줄··· 생존권 위협”

주민들은 석포제련소가 지난 50여 년간 지역경제와 삶을 지탱해온 터전이라고 주장했다. 박재한 공동투쟁위원장(봉화청년회의소 회장)은 “제련소는 철강, 조선, 자동차, 건설 등 국가 기간산업의 원자재를 공급하며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끌어 왔다”며 “이제 와서 환경 문제만 앞세워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원회 위원장 역시 “우리가 지키려는 것은 단순한 제련소가 아니라 우리의 생존권과 아이들의 미래”라며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석포제련소 이전에 화두가 됐던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반론도 제기됐다. 주민들은 “제련소는 무방류 시스템, 저황산화 설비, 대기·수질 개선 시설 등 수십 차례에 걸쳐 친환경 투자를 진행해 왔다”며 “현 시점에서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 대화와 지원 대신, 이전과 폐쇄라는 극단적 선택만을 내세우는 정부 방침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 경북도 이전 TF 가동에 주민들 투쟁 예고, 갈등 불가피
이날 공동투쟁위원회는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계획을 철회하라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이를 중앙정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결의문에는 ▲이전·폐쇄 계획 즉각 중단 ▲주민 의견을 반영한 투명한 행정 진행 ▲지역경제 붕괴에 대한 대책 마련 ▲경북도의 TF 해체 등이 포함됐다.
주민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이전을 추진한다면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경북도는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타당성 조사와 종합대책 수립에 착수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면서 이전 논의는 더욱 큰 갈등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