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대선 TV토론, 대선 후보들 상반된 에너지 공약 제시
AI·데이터센터에 전력 공급 방안 두고도 이견

18일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TV토론에서 후보자들이 에너지 정책에 대한 공방을 벌였다./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18일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TV토론에서 후보자들이 에너지 정책에 대한 공방을 벌였다./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8일 열린 첫 TV토론에서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후보 간 입장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원자력발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두고 각 후보는 미래 에너지원의 방향성과 현실적 대안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미래에너지원 중심 원전·재생에너지 서로 다른 방향성

AI(인공지능)산업의 발달로 전력 확보를 위한 에너지정책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후보들은 미래에너지원으로 원전과 재생에너지에 대한 각기 다른 입장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에너지 정책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며 "원전도 필요하지만 점진적으로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 원전을 활용하되 과하지 않게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섞어 쓰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원전의 위험성과 폐기물 처리 문제를 고려하면 가능한 한 안전한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며 '에너지 믹스 전략'을 제시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원전을 확대해야 한다"며 "탈원전 정책이 대한민국 원전 생태계를 위축시켰다"과거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기조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AI 시대 국가경쟁력의 핵심은 전력 확보인데 풍력·태양광은 발전 단가가 높고 공급이 불안정하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특히 "재생에너지를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지만 원자력 발전 단가는 풍력의 8분의 1, 태양광의 6분의 1 수준"이라며 "값싸고 안정적인 전력을 두고 외면한 것은 잘못된 환경론자들의 주장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원전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안전하게 관리된 원전은 친환경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같은 사례를 보라. 원전이 절대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없다"며 원자력 확대론에 신중론을 폈다.

에너지 정책에 현실성과 경제성을 강조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전력단가, 공급 안정성 등 현실부터 직시해야 한다"며 "AI 산업과 데이터센터 시대에는 전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데이터센터 정책 두고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 공방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해남 솔라시도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짓고 서남해 해상풍력을 활용하겠다는 공약에 대해 "서남해 해상풍력은 1kWh당 300원에 육박하는 고비용 전력인데, 어떻게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는 것이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글로벌 표준은 데이터센터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라며 "간헐성 문제는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보완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이준석 후보는 "ESS는 태풍 등 자연재해 발생 시 수일 이상 버티기 어렵다"며 "장기 공급 중단 시 계통 안정성까지 흔들릴 수 있다. 전력 자립률이 200%를 넘는 부산이 오히려 데이터센터 최적지"라고 역공을 펼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