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대비 전력 수급 강조…재생에너지 확대엔 속도
李 캠프 "원전에 대해선 명확한 사회적 합의 필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전북 김제시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33센터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이재명 후보 유튜브 캡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전북 김제시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33센터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이재명 후보 유튜브 캡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원자력발전소는 전기 공급의 필요성과 위험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만큼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선택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 대선 '감(減)원전' 기조에서 사실상 '에너지 믹스' 전략에 무게를 둔 발언이다.

이 후보는 24일 전북 김제시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33센터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에서 "향후 우리 사회는 인공지능(AI) 중심의 첨단 기술 산업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의 이번 발언은 AI 기반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를 고려한 현실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한 '기후고속도로' 정책 발표문을 통해서는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 후보는 "현재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0%도 되지 않는다"며 "이대로라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생산을 대폭 늘리고, 이를 대규모 산업단지와 연결해 전국 단위의 RE100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석탄 비중을 최소화하고 LNG도 줄이면서 재생에너지 비율을 신속히 높여야 한다"며 "전북·전남의 풍력과 태양광 자원을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도약의 원천으로 삼겠다"고 했다. 이어 "전력망 부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에너지고속도로' 건설을 재차 강조했다.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를 완공하고, 2040년까지는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해 한반도 전역에 해상망을 구축하겠다"며 "호남·영남의 전력망을 잇고 동해안 해상풍력까지 포함한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해당 공약은 이 후보가 지난 2022년 대선에서도 내세웠던 핵심 공약이다.

이날 발표문에는 원전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없었지만 전력 공급의 중요성을 밝히며 원전 유지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이 후보는 간담회 후 "상황에 따라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모두 필요한 만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 캠프의 윤후덕 정책본부장은 "재생에너지를 빨리 만드는 것이 과제이며 원전의 활용 여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결정돼야 한다"며 "대체 에너지를 빨리 주문하고 확보하려고 한다"고 말하며 에너지 정책의 무게 중심은 여전히 재생에너지가 크다는 것을 강조했다.

다만 이 후보의 이번 발표문에 대해 업계에서는 정책의 개별적인 방향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향후 실효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생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유력 대선 후보가 제조업 수요를 분산시키고 및 재생에너지 확보를 강조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목표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전반적으로 에너지업계에 필요한 내용이지만 정확한 평가는 향후 구체적인 내용이 나와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