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 이후 美 재생에너지 건설 비용 상승 예상
미국 내 공장 갖춘 태양광 업계는 상대적 안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재생에너지업계도 대책 논의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재생에너지업계도 대책 논의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새벽(한국시간)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재생에너지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일괄 관세를 매겼지만 세목별로 다르기 때문에 향후 상황을 지켜보며 종합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업계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이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한국에 25%를 부과키로 했다. 백악관은 이날 에너지 및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특정 광물 등에 상호관세를 추가 적용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향후 정세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현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미국 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건설 비용을 높일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풍력터빈 같은 발전장비는 전 세계 많은 공급업체의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미국에서 조립되지만 관세는 각 수입 부품의 비용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앤드리 리코 우드맥킨지 애널리스트는 "수입품 관세가 25%에 달할 경우 육상 풍력터빈 비용은 10% 상승하고 재생에너지시설 건설 비용도 7% 증가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우리 업계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향을 논의 중이다. 앞으로 수출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는 한편, 현지 생산 확대 등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다른 업종에 대비해 국내 재생에너지업계는 타격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 다양한 품목에 관세 인상을 단행했지만 한국을 대상으로는 관련 품목에 대한 세부적인 관세 인상 내용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태양광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한화솔루션 큐셀부문과 OCI홀딩스 같은 경우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세워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피해가 덜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

풍력의 경우 현재 미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업체가 국내 공장을 갖고 있지 않으며, 국내 풍력시장도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피해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풍력업계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트럼프 당선 이후 관세 부과 문제 대응을 위해 몇 달 전부터 논의했지만 다른 품목에 비해 제품 수출이 많지 않고 시장이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관세에 대한 영향을 적을 것이란 의견이 업계 내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의 경우 중국에 비해 피해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며 한화큐셀 같은 경우에도 미국 현지에 모듈 라인을 운영해 상황이 낫다"며 "풍력산업 또한 관세 부과로 피해가 클 것이란 일각의 예상과 다르게 아직 풍력시장이 초기단계라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