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무역법 301 발동에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에 반격 조치
미국 조선업 재건 '마스가' 프로젝트 타켓

미중 무역전쟁이 해운·조선 분야까지 확산되면서 한국 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미지=인공지능 
미중 무역전쟁이 해운·조선 분야까지 확산되면서 한국 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미지=인공지능 

미중 무역전쟁이 해운·조선 분야까지 확산되면서 한국 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중국 상무부가 14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에 올린 것이다. 미중 무역분쟁 과정에서 중국이 한국 기업을 공개적으로 제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보복 조치, 한화오션 겨냥

중국 상무부는 이날 "미국의 해사·물류·조선업 301조 조사에 반격하기 위해 한화오션주식회사 5개 미국 자회사에 대한 반격 조치를 채택한다"고 공표했다. 제재 대상은 한화쉬핑(Hanwha Shipping LLC),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 한화 필리조선소(Hanwha Philly Shipyard Inc.),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Hanwha Ocean USA International LLC), 한화쉬핑홀딩스(Hanwha Shipping Holdings LLC), HS USA홀딩스 등 5곳이다.

제재 결정은 즉시 시행되며, 해당 자회사들은 중국 기업·개인과의 거래나 협력이 금지된다. 중국 상무부는 제재 이유에 대해 "한화오션의 미국 내 관련 자회사가 미국 정부의 조사 활동을 지원해 중국의 주권, 안전, 발전 이익을 해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중국은 사전 통보 없이 제재를 발표해 사안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마스가' 프로젝트를 겨냥한 전략적 공격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이 조선업 재건을 추진 중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공격으로 분석된다. 마스가는 한국의 세계 최고 수준 조선 기술과 미국의 자금·기술력을 결합하는 한미 조선 협력의 핵심으로, 중국 입장에서는 세계 해운·조선 시장 지배력이 흔들릴 수 있는 위협이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12월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국내 조선업체 중 현지 생산시설을 가장 먼저 확보했다. 이는 한미 조선 협력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중국의 공격 대상으로 부각된 것이다. 그동안 중국 관영지와 학자들은 마스가 프로젝트가 세계 수주량 1위인 중국 조선업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예의주시해 왔다.

미국의 항만 수수료 징수가 촉발제

사태의 발단은 미국의 항만 수수료 징수에서 비롯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법 301조를 발동해 이날부터 중국 선박에 대해 미국 항만 이용 시 특별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같은 날 중국 항만에 기항하는 미국 선박을 대상으로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보복 조치에 나섰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조사를 도운 외국 기업도 보복 대상"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은 "관련 산업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안전법·반외국제재법·국제해운조례 등 규정에 따라 미국 조사 활동에 협조·지지한 일부 기업을 반격 리스트에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실상 미국의 정책에 협력하는 국가나 기업이면 중국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신호다.

한국 기업의 리스크 증대

이번 사태는 한국 기업들의 미중 무역전쟁 유탄 피해 우려를 높이고 있다. 한국이 원자재 공급망과 수출 대상국으로서 중국과 밀접하게 얽혀 있는 만큼, 미중 분쟁이 심화될수록 한국 기업들의 투자나 영업 활동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특히 중국이 조선 분야에 이어 반도체 등 첨예하게 대립하는 다른 분야에서도 한국 기업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해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다양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진행 중인 만큼, 추가 관세 발표 시 중국의 한국 기업 대상 제재가 연쇄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이 취한 301조 조사 조치는 국제법과 국제 관계의 기본 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비판하면서 "미국과 관련 기업이 사실과 다자 경제·무역 규칙을 존중하고 시장 경제와 공평 경쟁 원칙을 준수하기를 촉구한다"고 했다. 한편 "조속히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중국의 이익 훼손을 중단하기를 촉구한다"는 발언은 중국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보복에 나설 것임을 시사한다.

미중 무역전쟁이 해운·조선·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경영 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