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촬영 기반 3D 현장 관리…원가 절감·시공 정확도 향상

DL이앤씨는 드론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는 플랫폼을 국내 업계 최초로 모든 주택 현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을 가상 공간에 그대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공정과 품질, 안전관리부터 설계·분양·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DL이앤씨는 3차원 매핑 기술을 보유한 스마트건설 플랫폼 전문기업 메이사와 협력해 해당 시스템을 개발했다. 양사는 드론으로 건설 현장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이를 정밀 분석해 정교한 디지털 트윈을 구현했다.
DL이앤씨의 드론 플랫폼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공기·공정별 현장 상황을 한눈에 3D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장 상황을 도면과 비교하며 시공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효율적인 현장 관리도 가능하다.
드론 플랫폼을 통해 철저한 원가 관리로 생산성까지 높였다. 기존에는 토공량(공사에서 다루는 흙의 양) 산출을 위해 현장 반∙출입 트럭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오차가 발생했지만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항공 촬영을 통해 토공량을 자동으로 산출, 정확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DL이앤씨는 드론 플랫폼을 주택 전 현장과 일부 토목과 플랜트 현장에서도 적용해 운용 중이다. 향후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품질과 안전 확보는 물론 생산성까지도 높일 수 있다"며 "드론과 AI, 건설정보모델링(BIM) 등 업계 최고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건설 분야를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