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유튜브 채널에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원리 공개
두 세트 인버터 제어로 고효율·고출력 동시 구현
고성능 전기차에 적용 확대···글로벌 전기차 경쟁 우위 확보 집중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2-스테이지(2단계) 모터시스템' 기술의 원리를 공개한 현대자동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2-스테이지(2단계) 모터시스템' 기술의 원리를 공개한 현대자동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가 더 멀리, 더 빠르게 가기 위한 고민이 담긴 전기차 핵심 기술력을 공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최근 공식 유튜브 채널에 ‘2-스테이지(2단계) 모터시스템’ 기술의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한 해설 영상을 10일 공개했다. 

양사가 공동 개발한 해당 기술은 전기차의 고출력과 고효율을 동시에 구현한 모터시스템으로,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대한민국 기술대상’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 12개 스위치로 완성한 고출력 구조… 전기차 한계 넘었다

인버터에 12개의 반도체 소자를 적용해 모터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을 늘려 고출력을 구현하는 현대자동차·기아의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현대자동차∙기아
인버터에 12개의 반도체 소자를 적용해 모터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을 늘려 고출력을 구현하는 현대자동차·기아의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현대자동차∙기아

이날 공개된 영상은 전기차의 원리는 물론 현대차·기아의 전기차가 개발한 차별화된 핵심 부품 구조와 작동 방식을 일반 고객도 알기 쉽도록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우선 전기차의 구동 시스템은 모터, 감속기, 인버터 등 세 가지 부품이 핵심이다. 모터가 회전력을 만들고, 감속기가 그 힘을 바퀴에 전달하며, 인버터는 배터리의 직류 전력을 교류로 바꿔 모터에 공급한다.

기존 전기차 인버터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반도체 소자 6개로 구성된 단일 회로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구조는 고출력 주행 시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현대차∙기아는 여기에 실리콘 반도체 스위치 6개를 추가해 총 12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모터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이 기존 대비 약 70% 확대되면서 출력이 대폭 향상됐다.

도심 주행 등 일반 상황에서는 한 세트(6개)의 스위치만 사용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고속 주행이나 급가속 등 고출력 구간에서는 두 세트를 동시에 작동시켜 폭발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스위치가 6개에서 12개로 늘어나면, 전력 제어 범위도 복잡해진다. 단순히 부품을 두 배로 늘리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현대차∙기아의 설명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회사는 독자적인 모드 절환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저출력 모드에서 고출력 모드로 전환되는 순간, 운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주행 이질감 없이 자연스러운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현대차 연구진은 “고효율과 고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모터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다”며 “경쟁사들이 우리 전기차를 구입해 직접 분해해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기술의 우수성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 ‘N’과 ‘GT’ 모델에 탑재… 현대차·기아 "기술력으로 전동화 앞서간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현대차∙기아는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으로 전기차 고성능 분야에서도 확실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해당 시스템은 고출력 스포츠카 수준의 퍼포먼스를 내면서도, 도심 주행 시 효율 손실을 최소화하는 점에서 “전기차의 양립 불가능한 두 세계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은 현재 기아 EV6 GT를 비롯해 현대차 아이오닉 5N, 아이오닉 6N, 아이오닉 9, 올 뉴 넥쏘 등에 적용돼 있다. 해당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들의 경우 고속 주행시 뛰어난 가속력과 정숙성을 동시에 실현하며, 고객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향후 출시될 전기차 라인업에도 이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현대차∙기아는 현재 해당 시스템의 핵심 기술과 관련해 국내를 비롯해 미국·유럽·중국·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총 47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연구진은 “전기차 시대의 경쟁력은 배터리 용량이 아니라 ‘전력 제어 기술’에 달려 있다”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단순히 차량을 판매하는 수준을 넘어, 기술을 고객에게 직접 소개하고 이해를 돕는 커뮤니케이션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 이날 공개 영상은 지난해 공개된 ‘브레이크 작동 원리’ 영상에 이은 두 번째 기술 해설 콘텐츠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고객이 단순히 차량의 성능만이 아니라 그 뒤에 숨어 있는 기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목표”라며 “기술 중심의 소통을 지속해 브랜드 신뢰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