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보안 사고와 자산 매각 논란 핵심
MBK “투자 확대·관리 강화 지속”… 책임 공방 불가피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오는 10월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된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오는 10월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된다./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오는 10월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된다. 대주주로 있는 롯데카드의 대규모 해킹 사고와 홈플러스 매각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이 직접적인 이유다. 소비자 피해와 시장 불신을 키운 사안인 만큼, 정치권은 MBK의 관리 책임을 집중적으로 따지겠다는 방침이다.

26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7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는 정무위 국감에서 MBK는 증인으로 출석한다. 롯데카드 해킹 사고를 둘러싼 정보보호 투자 축소·내부 통제 부실 논란과 홈플러스 매각 과정에서 제기된 자산가치 평가 및 투자자 보호 문제 등이 주요 질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MBK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롯데카드의 경우 주주 교체 이후 설비투자(Capex)와 운영비용(Opex)을 함께 늘리며 보안 체계와 IT 인력을 강화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보안 예산 축소라는 지적도 Capex만 기준으로 한 ‘절반의 해석’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홈플러스 건과 관련해서도 “해외 사모펀드 특유의 투자 회수 전략을 두고 과장된 비판이 제기됐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다만 국감에서는 이런 해명이 충분히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한 업계 관계자는 “MBK가 투자 확대와 책임 강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국회와 여론의 눈높이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