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더 기아 PV5’ 공개… 플렉시블 바디 기술로 맞춤형 설계 구현
차체·외장 부품 모두 모듈화… 바디 최대 16종까지 확장 가능

기아가 차세대 바디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탑재한 중형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더 기아 PV5'(이하 PV5)로, PBV(Platform Beyond Vehicle)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기아는 17일 PBV 전용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최초 적용해 다품종 생산과 고객 맞춤 개발에 최적화된 미래 차량 플랫폼 'PV5'를 공개했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바디’라는 새로운 설계 및 생산 방식으로 ▲차체 ▲무빙류(도어·테일게이트 등) ▲외장 ▲내장의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사양을 유연하게 개발하고 생산하는 PBV 특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설계 유연성과 생산 효율성은 물론, 차체 구조 안정성과 유지보수 편의성까지 강화했다.

PV5는 전면부와 1열 구조를 공용화하고, 1열 이후 차체와 외장은 모듈 방식으로 구성됐다. 기본 7종의 바디(패신저 롱, 카고 컴팩트 3도어/4도어, 카고 롱 3도어/4도어, 카고 하이루프 3도어/4도어)를 시작으로, 조합에 따라 최대 16종까지 확장 가능하다.
고객 편의를 고려한 기술도 눈에 띈다. 후측방에는 ‘조립형 어라운드 가니쉬’를 적용해 충돌 시 손상 부위만 교체 가능하도록 했고, 외골격 환형 구조를 통해 차체 강성을 높였다. 특히 롱바디 모델에는 이를 이중으로 적용한 ‘듀얼 환형 구조’가 적용됐다.
내부 역시 유연성을 강화했다. 트렁크에 위치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은 총 7종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액세서리 장착이 가능한 공간으로 설계됐다.
기아는 이달 중 PV5의 패신저(5인승) 모델과 카고 롱 모델의 양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바디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이어 2027년에는 대형급 PBV 출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영호 기아 MSV바디설계1실 상무는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기존 자동차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PBV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전환점”이라며 “고객의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맞춰 기술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아는 오는 22일 경기도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해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및 PV5의 주요 기술을 미디어에 소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