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엘리베이터 타고 집 찾아가…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배송
6월 준공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등장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에 본격 나선다./이미지 = 챗 GPT, 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에 본격 나선다./이미지 = 챗 GPT, 그래픽=그린포스트코리아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아파트 단지에 로봇이 스스로 집을 찾아가 물건을 배송하는 자율주행 로봇을 도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스타트업 ‘모빈(Mobinn)’과 공동 개발한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배송 서비스를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처음 적용한다.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된 것이다.

현대건설은 이번 자율주행 D2D(Door to Door) 로봇 배송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무선통신 및 관제시스템과 연동한 서비스다.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까지 탑재돼 도로부터 각 세대 현관까지  완벽히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 로봇이 서비스를 운행하고 있다. /현대건설 제공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 로봇이 서비스를 운행하고 있다.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은 지난해 단독형 타운하우스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 입주민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올 초 현대엘리베이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한 서비스 상용화를 추진해왔다.

로봇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무인 자동 콜 기능'뿐만 아니라 목적층이 취소될 경우, 다시 호출하고, 엘리베이터 정원 초과 범위를 파악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지능형 기술이 탑재됐다.

이 배송 로봇은 택배나 음식 배달, 순찰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자체 개발한 특수 고무바퀴 구조는 계단 등 장애물 극복이 용이하고 적재함 수평 유지 기능을 탑재해 적재물의 안전성까지 확보했다.

3D 라이다와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주변 지형과 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휴 시간 순찰 모드 기능이 탑재돼 보행자 안전에 특화된 자율주행까지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자율주행 D2D 로봇 배송 서비스'를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에 적용해 로봇 친화형 주거단지 조성 계획을 제안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동 제약이 없는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는 고객 편의는 물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로봇 친화형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 기술 및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