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녹색 창업 지원 사업 성과 보여
업계는 "중·후기 기업 지원도 마련해야" 제안

정부의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자금이 부족해 녹색기술을 사업화하지 못하는 스타트업에 사업지원금·성장 프로그램을 제공한 데 따른 성과다. 그러나 업계에선 창업 초기 기업뿐만 아니라 중·후기 기업에 대한 지원도 늘려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의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자금이 부족해 녹색기술을 사업화하지 못하는 스타트업에 사업지원금·성장 프로그램을 제공한 데 따른 성과다. 그러나 업계에선 창업 초기 기업뿐만 아니라 중·후기 기업에 대한 지원도 늘려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가 녹색기술을 사업화하는 ‘에코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추진하면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자금이 부족해 녹색기술을 사업화하지 못하는 스타트업에 사업지원금을 제공하고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한 데 따른 성과다. 그러나 업계에선 창업 초기 기업뿐만 아니라 중·후기 기업에 대한 지원도 늘려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 환경부 ‘환경창업대전’·‘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으로 녹색 창업 지원

에코스타트업은 환경친화적이라는 뜻의 ‘에코’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스타트업’이 합쳐진 말이다. 대체식품 개발 에코스타트업 인테이크 한녹엽 대표는 본지에 “(에코스타트업은) 공적 가치는 기본 바탕이고, 핵심적인 매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에코스타트업이 지속 가능하려면 환경보전이라는 공적 가치와 수익 창출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뜻이다.

에코스타트업은 환경친화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지 않은 자본을 들이면서, 제품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시장에 침투해야 한다. 이중의 부담을 지고 있는 셈이다. 이에 정부는 에코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 환경부는 매년 ‘환경창업대전’과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실시하여 에코스타트업을 지원한다.

지난 2일 시상식이 열렸던 ‘환경창업대전’은 2018년부터 시작된 환경창업 공모전이다. 발전 가능성이 있는 녹색 창업 아이템을 발굴·지원하여 환경창업을 확대하고 녹색산업의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총 1,489개의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이 중 122개 과제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과제는 최대 2천만 원의 상금을 받는다. 이밖에 환경산업연구단지 창업벤처센터 입주 지원 시 가점이 부여되고,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 지원 시 서류평가 면제 혜택도 받는다.

또 다른 사업인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은 2020년부터 환경부 주관으로 시작됐다. 이 사업 역시 유망한 녹색 창업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녹색 아이디어·기술의 사업화를 돕는다.

지원 대상자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으로 구분된다. 창업 또는 재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는 최대 5천만 원을 지원받는다. 창업기업은 ‘창업 7년 이내’의 기업을 뜻한다. 이들은 최대 1억 원을 지원받는다. 지원 대상자(기업)은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도 있다. 성장 프로그램은 교육(창업 소양 교육 30시간)·멘토링(기업 애로사항 해결을 돕는 1대1 전문가 상담)·컨설팅(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장검증·투자유치 매칭)으로 구성된다.

권재섭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획운영실장은 “2021년 12월 기준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은 총 241개 과제를 지원하였으며, 일자리 창출 356명, 매출액 277억 원, 투자유치 82억 원, 지식재산권(특허출원·상표등록) 308건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권 실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은 환경부에서 에코스타트업을 대상으로는 처음 시작하는 사업으로, 이 사업을 통해 발굴된 유망 에코스타트업은 녹색산업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권 실장은 “앞으로 환경창업대전과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기업의 성과를 계속해서 사후 관리할 계획이고 에코스타트업의 발굴과 지원에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전했다.

◇ “중·후기 기업에 대한 장기적 지원책도 마련해야”

에코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지원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지만 일각에선 정부 지원이 창업 초기 기업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인테이크 한녹엽 대표에게 ‘앞으로 어떤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에코스타트업이 지속 가능할 것 같은가’라고 물었다. 한 대표는 “에코스타트업은 기본적으로 매출 성과 및 수익을 단기간에 만들어내기 어려운 근본적 특성이 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비즈니스모델을 뒷받침하는 단계적 정책자금의 설계가 가장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이어서 한 대표는 “관련 자금이 확대되고 있지만, 초기 기업에 너무 초점이 잡혀있거나 창업 연차 제한 조건이 많은 편이라 중·후기 기업에 대한 정책 마련이 추가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적 확장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확보한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질적 개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엄격하게 도입해야 에코스타트업 생태계가 지속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테이크는 식자원의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에코스타트업이다. 해당 기업은 지난 6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2022년 기술사업화지원사업'의 대체육 관련 과제 주관사로 선정된 바 있다.

runningtowi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