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보관·운용·처분' 신탁 라인업 구축

금(金) 실물을 안전한 곳에 ‘보관’하면서도 이를 ‘운용’해 수익을 챙기고, 필요하면 합리적인 가격에 ‘처분’도 할 수 있는 신개념 금융상품이 나왔다.
하나은행은 금 실물을 보관하고 운용수익도 얻을 수 있는 ‘하나골드신탁(운용)’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금융권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금 실물 운용 신탁 상품이다.
하나은행은 1997년 IMF 외환위기 때 ‘금 모으기 운동’의 정신을 계승할 금 실물 활용 방안으로, 지난 6월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하나골드신탁(처분)’을 선보였으며, 이번에 ‘하나골드신탁(운용)’을 내놨다.
이로써 하나은행은 금 실물 자산의 ‘보관⟶운용⟶처분’이 모두 가능한 금 신탁상품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
하나은행 측은 이를 통해 “무수익 자산인 금을 운용해 손님에게 수익을 드리고, 실물 시장에서 높은 유동성을 지닌 금 실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소비 진작과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나골드신탁’은 고객이 보유한 금을 하나은행에 맡기면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모바일 웹으로 제공하는 감정결과를 확인한 후, 운용 여부 동의 절차를 거쳐 만기에 감정가의 1.5%(11일 기준, 연이율, 세전·보수 차감 후)에 해당하는 운용수익과 금 실물을 돌려받는 구조다. 운용수익은 현금으로 지급되며, 원하면 금 실물로도 받을 수 있다.
‘하나골드신탁’의 가입 가능 품목은 24K 순금으로, 최소 가입 중량은 100g이다. 이날부터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 지점에서 시범 운영을 거쳐, 18일부터 서울 지역 25개 영업점과 부산 해운대동백 지점까지 26개 영업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골드신탁(운용)은 금 실물도 ‘운용 가능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자산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상품을 지속 출시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