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강화…국내외 사업장 전 과정 관리체계 구축

롯데케미칼 CI.
롯데케미칼 CI.

롯데케미칼이 제품 전 과정에 걸친 전과정 환경영향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관리체계를 확대하며 고객사의 탄소중립 실현을 적극 지원하고 나섰다.

LCA는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투입되는 자원·에너지·오염물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제도로,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탄소배출량을 비롯한 환경 데이터 요구가 커지고, 국가별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요 수출 기업들에도 압박이 커지는 추세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부터 '제품 에코디자인 규정을 시행하고 있으며, 탄소배출량·재활용 정보 등을 포함한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을 통해 EU 수입품에 사실상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에 대응해 롯데케미칼은 기초유분부터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 걸쳐 LCA 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첨단소재사업은 이미 2021년부터 국내외 생산 공정에 LCA 산출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중이며, 올해는 기초소재 국내 사업장 전 공정에도 이를 도입 완료했다. 해외 사업장 역시 LCA 구축이 진행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이를 토대로 제품별 LCA 선언서를 제공해 이들이 ESG 경영을 강화하고, 글로벌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LCA 관리체계를 통해 고객사의 탄소중립 실현에 필요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책임 있는 제품 개발과 지속 가능한 경영 실천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