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2조 지원금 풀리자 카드·플랫폼업계 ‘추가혜택 전쟁’
과열 마케팅에 비용 역전 우려…“지원금 취지 흐려질 수도”

/AI 생성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정부가 약 12조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풀자, 카드사와 간편결제 플랫폼이 이를 활용한 대대적인 마케팅에 돌입했다.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취지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또다시 과열 경쟁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 소비쿠폰 사업은 정부가 7월 중순부터 지급한 ‘신용·체크카드 캐시백’ 형태의 지원금이 계기다. 사용처는 전통시장, 골목상권, 지역 가맹점 등이고, 지원금 외에도 추가로 지급되는 카드사별 혜택이 줄줄이 쏟아졌다.

삼성·우리·KB·하나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은 소비쿠폰을 사용할 경우 최대 5만 원을 추가로 캐시백해주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일부 카드사는 신규 발급 조건으로 30만~40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지급하기도 한다. 간편결제 업계도 가세했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는 소비쿠폰 이용 고객에게 수백만 원 상당의 포인트 추첨 이벤트를 여는 등 혜택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처럼 카드업계가 정부 정책에 맞물려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선 배경엔 내수 활성화 분위기에 올라타 소비심리를 자극하려는 전략이 깔려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 같은 움직임이 ‘지원금을 미끼로 한 고객 유치 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과열 논란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지난 2020년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 때도, 일부 카드사들이 지나친 마케팅 경쟁을 벌이다 금융당국으로부터 제동이 걸린 바 있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국가 재정으로 지급되는 지원금은 민간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삼아선 안 된다”며 자제를 요청한 전례가 있다.

이번 소비쿠폰 지급 역시 유사한 양상을 띨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맞춰 혜택을 연동하는 차원”이라면서도 “수수료 수익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나가는 구조라 오히려 실익이 낮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콜센터 인력 확대나 서버 증설 등 비가시적인 운영비까지 고려하면 손익분기점 맞추기도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카드사들은 최근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 인상기에 따른 카드론 조달비용 증가, 가맹점 수수료 인하 압박, 연체율 상승 등으로 재무 여건이 빠듯해진 가운데, 이번 소비쿠폰 마케팅은 자칫 ‘과잉 비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드업계 다른 관계자는 “정부 지원금이라는 성격상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인식은 있지만, 마케팅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구조라서 내부에선 오히려 ‘버티기 경쟁’에 가깝다는 시선도 있다”며 “정책 취지에 맞게 소비 활성화 효과가 나타나려면 카드사 간 출혈 경쟁보다는 혜택 구조를 보다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