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컨소시엄, 145억 원 규모 대법원 AI 사업, 본격 착수
결문 요약부터 법령 검색까지… 재판업무 전 과정 AI 적용

KT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대법원 재판업무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나섰다.
KT는 21일 대법원과 ‘재판업무 지원을 위한 AI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총 145억 원 규모의 AI 기반 재판 지원 시스템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향후 4년간 진행되며, KT를 주축으로 엘박스, 코난테크놀로지, 엠티데이타가 참여하는 ‘KT 컨소시엄’이 공동 수행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재판 과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장기화되는 재판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주된 목표다. 대법원은 AI 기술을 통해 사법행정 전반의 생산성과 접근성을 혁신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KT 컨소시엄은 입찰 과정에서 ▲KT의 멀티 LLM 기술 ‘믿:음 2.0’을 활용한 법률 특화 언어 모델 ▲엘박스의 리걸테크 서비스 운영 경험 ▲코난테크놀로지의 고도화된 검색·레이블링 기술 등 법률 전문 AI 역량을 인정받아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KT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특화 AI 모델 ▲판결문·법령 기반 검색 시스템 ▲쟁점 자동 추출·요약 ▲AI 기반 판결문 작성 지원 등 재판업무 전반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을 설계·구축할 예정이다.
KT는 그간 공공부문에서 축적한 AI 및 ICT 역량을 바탕으로 이번 대법원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됐다. 특히 공공기관 맞춤형 AX(Advanced eXperience) 사업에 강점을 가진 KT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법률 분야 기업과 정부 간 거래(B2G) AI 플랫폼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유용규 KT Enterprise부문 공공사업본부장 전무는 “KT의 AI 기술력이 사법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믿:음 2.0’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