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로봇과 AI 영상 결합··· 폭발적인 소비자 반응을 얻다
올해 4월부터 역주행··· 48개국에서 580만 조회수 달성

현대자동차그룹이 혁신 기술과 AI를 활용한 영상으로 괄목할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10월 공개한 'EV3 발레파킹 기술 PR 영상'이 글로벌 미디어와 SNS를 통해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해당 영상은 고객의 차량을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주차해 주는 서비스를 리얼한 AI 영상과 춤을 추는 듯한 빠른 템포로 구현한 영상이다. 해당 영상은 지난해 10월 유튜브를 통해 처음 공개됐는데, 7개월이 지난 올해 4월부터 미국의 대표 커뮤니티 플랫폼 ‘레딧(Reddit)’을 기점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호주의 ‘슈퍼카 블론디'(Supercar Blondie), 미국의 ‘래핑 스퀴드'(Laughing Squid), 캐나다 인플루언서 ‘댓 에릭 알퍼'(That Eric Alper), 포브스 세르비아, 타임즈 브라질 유튜브, 태국의 ‘카오소드'(Khaosod) 등 48개국 이상의 미디어 및 SNS 채널에서 주요 콘텐츠로 다뤄졌다. 누적 조회수는 약 580만 회에 달한다.
더 흥미로운 점은 영상 속 주차 로봇이 실제로 존재하는 기술이라는 점이다. 해당 기술은 얇고 넓은 형태의 로봇 한 쌍이 차량 하부로 들어가 바퀴를 들어 올린 뒤,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지난해 6월 서울 성수동의 팩토리얼에서 실물 시연 영상으로 먼저 공개된 바 있다.
이후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 싱가포르 혁신센터(HMGICS) 등 완성차 생산 현장에서도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
SNS와 커뮤니티에는 “이 작은 로봇이 실제로 자동차를 옮긴다니 놀랍다”, “정말 인상적인 기술이다” 등 감탄과 찬사가 이어졌으며, 약 2,736건의 댓글 중 75% 이상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실제 기술에 기반한 AI PR 콘텐츠가 단순한 홍보를 넘어 기술력에 대한 신뢰와 공감을 이끌어냈다”며 “AI 기반의 혁신 콘텐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AI 기술을 활용한 광고·홍보 콘텐츠는 현대차그룹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빙그레는 ‘처음 입는 광복’ 캠페인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의 마지막 사진을 AI로 복원해 한복을 입은 모습으로 재현했고,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에이닷엑스’를 활용해 단편영화 ‘중독: 나한테만 보이는’을 제작해 주목받았다. 서울우유는 AI로 생성한 아역 모델을 광고에 등장시켜 신선한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자료제공 현대자동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