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스마트코티지, 국내 프리패브 건축물 중 최초 ZEB 플러스 획득
전기안전공사와 협력해 사전 설계 단계부터 전기안전 강화 추진

LG전자가 자사의 AI 기술과 에너지 솔루션을 집약한 모듈러 주택 ‘LG 스마트코티지’로 차세대 건축 시장에서 에너지 효율과 안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나섰다.
LG전자는 최근 LG 스마트코티지는 모듈러 주택을 포함한 모든 프리패브(Pre-fabrication: 사전 제작) 방식의 건축물 중 국내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최고 등급인 ‘ZEB 플러스’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프리패브는 공장에서 주요 구조물을 사전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건축 공법이다. ZEB 인증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자립률을 평가해 부여한다. LG 스마트코티지는 100% 자립을 넘어선 ‘에너지 생산 초과’ 수준의 성능을 입증받았다.
LG 스마트코티지는 LG전자의 차별화된 AI가전과 냉난방공조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기술을 집약한 모듈러 주택이다. 주택 내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를 전기로 사용하며, 지붕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면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

LG전자는 LG 스마트코티지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전라북도 김제에 있는 LG 스마트코티지에서 한국전기안전공사와 ‘모듈러(Modular) 주택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설계도면 검토, 제조 현장검사 등을 실시, 전기 안전 인증등급을 부여하는 ‘모듈러 주택 미리 안심 인증제도’ 신설에 협력한다. 기존에는 조립식 건축물의 전기 안전 검사가 설치 완료 후에 진행됐으나, 이번 협약을 통해 설계도면부터 제조단계까지 사전 검토와 검사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재시공을 줄이고 품질 신뢰도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미리 안심 인증제도’를 신설해 스마트코티지에 처음 적용하고, 이후 모듈러 건축 시장 전반으로 확산할 방침이다.
한편 모듈러 주택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주목된다. 한국철강협회와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프리패브 건축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4조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Markets and Markets) 역시 모듈러 주택 시장은 2029년까지 약 1408억 달러(한화 194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연우 LG전자 스마트코티지 조연우 대표는 “공간, 가전, 서비스를 융합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LG 스마트코티지를 통해 건축 산업의 새로운 변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