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공식 입장문 통해 “안전 담보 불가” 강조
후속사업자 선정 적극 협조··· 국토부도 재입찰

부산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이 당분간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부지 조성 공사를 맡은 현대건설이 정부 등의 공사기간 단축 요구를 이유로 공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이유에서다.
현대건설은 30일 공식 입장문을 내고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공기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임을 강조하며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참여를 포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과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공항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무리한 공기 단축 요구와 조건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사익 때문에 국책사업 지연 및 추가 혈세 투입을 조장한다는 오명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경쟁 입찰이 4차례 유찰되자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컨소시엄은 현대건설 외에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으로 구성됐다.
현대건설은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 등 유사 사례와 최근 무안공항 사고 등을 분석하고 250여 명의 전문가와 600억원의 비용을 투입해 기술검토와 기본설계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정부의 수의계약 절차 중단과 지역사회의 잇단 입찰 배제 요구로 논란이 확산됐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공사 대상 부지는 서울 남산의 3배에 달하는 절취량과 여의도의 2.3배에 이르는 부지 조성 작업이 필요한 초대형 난공사다. 특히 연약지반 안정화 및 방파제 시공 후 매립 등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제시한 공사기간으로는 부족하다는 입장이었다.
정부는 부지조성공사 입찰 공고상 84개월 공사기간을 명시했지만 현대건설 측은 이를 108개월로 늘려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국토부는 이를 수용하지 않고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기본설계안의 보완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 8일 현대건설 측과의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하기로 하고, 재입찰 여부 등을 검토했으며, 현대건설도 철수 결정을 내렸다.
다만 현대건설은 사업지연 최소화 위해 협조할 예정이다. 기본설계도서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고, 후속 사업자 선정 과정에도 적극 협력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이번 입장은 대우건설 등이 포함된 컨소시엄이 아닌 현대건설 단독의 결정임을 명시했다.
국토부 역시 재입찰을 통해 신속한 사업 정상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기본설계와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을 토대로 안전성과 품질이 확보되면서도 일정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