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대형 산불 빈도 증가해
한전·도로공사 등 지원 확대··· 전력·교통 인프라 복구 중

대한민국은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AI 생성 이미지
대한민국은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AI 생성 이미지

지난달 21일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로 인해 빠르게 확산돼 경북과 경남 지역을 휩쓸었다. 이로 인해 최소 30명이 사망하고 4.5만여 헥타르(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이는 서울 면적의 약 80%에 해당한다. ​

정부는 9000명 이상의 인력과 120대의 헬리콥터를 동원하는 등 산불 진화와 피해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주불은 진화된 상태이나 잔불 정리와 재발 방지를 위한 감시가 계속되고 있다.

피해 규모는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2년 울진·삼척 산불 피해액의 약 3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 이러한 대형 산불의 원인으로는 건조한 대기 상태와 강한 바람이 지적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왼쪽 두번째)이 울주군 언양읍 산불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산림청
임상섭 산림청장(왼쪽 두번째)이 울주군 언양읍 산불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산림청

공공기관들도 신속한 복구와 피해 지원에 나섰다. 산림청은 산불 피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하고, 한전과 도로공사 등 공기업들도 전력·교통 시설 복구와 재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북도 의성, 안동, 영양, 청송, 영덕, 경상남도 산청, 하동 등 8개 지역을 중심으로 긴급 진단을 실시하고 복구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성영상 및 드론을 활용해 산불 피해 강도를 분석하고, 특히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과 주거 밀집 지역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전력은 산불 발생 직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2700명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다. 추가적으로 3100명을 동원해 전력 설비 복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피해 지역 주민을 위한 전기 요금 감면과 시설 부담금 감면 등을 포함해 총 138억원 규모의 지원을 결정했다.

함진규 사장(가운데, 녹색 상의)이 청송휴게소를 찾아 긴급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함진규 도로공사 사장(가운데, 녹색 상의)이 청송휴게소를 찾아 긴급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도로공사는 산불로 인해 일시적으로 통제됐던 중앙·서산영덕고속도로 복구 작업을 진행 중으로, 휴게소와 CCTV, 도로전광표지(VMS) 등 교통시설 정상화도 추진 중이다. 한국도로공사는 피해 복구 지원을 위해 2억 원을 기부하고, 이재민 구호와 생필품 지원에도 힘을 보태기로 했다.

정부는 피해 지역 주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복구 지원과 함께 추가적인 안전 대책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