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3302억원, 조정 EBITDA 4637억원

네이버는 2022년 3분기에 매출(영업수익) 2조 573억 원, 영업이익 3,302억 원, 조정 EBITDA 4,637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1%, 전분기 대비 0.6% 증가한 2조 573억 원을 기록했다.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 전분기 대비 1.8% 감소한 3,302억 원을 기록하였으나, IDC 시설 등 인프라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주식의 등락에 영향을 받는 주식보상비용의 효과를 제외한 조정 EBITDA는 전분기 대비 7.2% 증가한 4,637억원으로, 조정 EBITDA 이익률은 1.4%p 개선되었다.
사업 부문별 매출은 ▲ 서치플랫폼 8,962억 원 ▲ 커머스 4,583억 원 ▲ 핀테크 2,962억 원 ▲콘텐츠 3,119억 원 ▲클라우드 및 기타 948억 원이다.
서치플랫폼은 전년 동기 대비 8.0% 성장, 전분기 대비 1.0% 감소한 8,962억 원을 기록했다. 검색광고는 전년 동기 대비 10%를 상회하는 견조한 성장을 기록했다.
커머스는 커머스 광고, 브랜드스토어, 멤버십 가입자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9.4%, 전분기 대비 4.3% 성장한 4,583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 네이버쇼핑 거래액은 10.5조 원을 기록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22.5%, 전분기 대비 0.2% 성장한 2,962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전분기 대비 3.3% 성장한 12.4조 원을 기록했다.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77.3%, 전분기 대비 3.9% 증가한 3,119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1%, 전분기 대비 11.9% 성장한 4,570억 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 및 기타는 전년 동기 대비 1.5%, 전분기 대비 9.6% 감소한 948억 원을 기록했다.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그동안 구축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3분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며, "네이버는 최근 발표한 포쉬마크 인수, 신규 광고 상품, 네이버 도착 보장 솔루션, 오픈톡, 이슈톡을 비롯해 더욱 다양한 신규 성장 동력을 찾아내고, B2B 사업 조직들의 통합 등 보다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통한 사업 영역간 시너지를 확대, 새로운 시장을 끊임없이 개척하며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 신한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현역병 자산관리 서비스’ 개시
- 하나은행, 연4% 이자 주는 ‘네이버페이 머니 하나 통장’ 출시
- [주간증시전망] 피봇 실망에 변동성 확대…“삼성전자·네이버 등 주목”
- 롤드컵 여운 달랜다…우리은행, 아마추어 LoL 대회 생중계
- 네이버, 新 D2C 솔루션 ‘네이버도착보장’ 공개
- 네이버 D2SF, 크리에이터 테크 스타트업 빅크에 후속 투자
- 네이버, 파트너사 ESG 경영 돕는 ‘온라인 ESG 자가진단’ 플랫폼 오픈
- 네이버 검색, 국내 플랫폼 최초 HTTP/3 도입
- 네이버 커넥트재단, 소프트웨어 교육 컨퍼런스 ‘SEF2022’ 개최
- 네이버 엑스퍼트, 출시 3주년…누적 연결 200만건 돌파
- 네이버쇼핑, 작은 가게 돕는다…상생 전용관 ‘나란히가게’ 오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