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지역 조사 초기단계…주민건강 조사·분석 및 폐기물 관리 시급

18일 국회에서 열린 '원전과 건강, 일본 후쿠시마와 한국 원전주변' 한-일 국제 심포지움에서 후세 사치히코(布施 幸彦) 후쿠시마 공동진료소 원장이 후쿠시마 원폭 이후 방사능에 의한 주민 건강 피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환경TV DB]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원폭)가 발생한 이후, 지난해 우리나라 원전 밀집지역인 경주에서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원폭 이후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의 갑상선 암 발생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원전과 건강'을 주제로 한-일 국제 심포지움이 개최됐다. 이날 후쿠시마 원폭 이후 소아 갑상선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후세 사치히코(布施 幸彦) 후쿠시마 공동진료소 원장은 후쿠시마 지역의 만 18세 이하를 대상으로 소아 갑상선암 발생 추이를 검사한 결과 매년 늘고 있었고, 원전에서 가까운 지역에 밀집해 있었다고 밝혔다.

2011년 후쿠시마 원폭 이후 3년이 지난 2014년 3월31일 소아 갑상선암 환자 수는 89명이었다. 이후 1년 뒤 같은날에는 126명, 지난해 3월31일에는 173명으로 증가했고 3개월 뒤인 6월30일엔 184명으로 또 늘었다.

소아 갑상선암 이외의 다른 질병도 원폭 이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후쿠시마 현립 의과대학이 원폭 1년 전인 2010년과 1년 후인 2012년의 질병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백내장 환자는 227% 증가했고 뇌출혈은 300%, 소장암은 400%, 대장암은 297%, 전립선암은 300%씩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총 인구수도 2011년을 기준으로 이전까지는 일정한 선을 유지하다가 2011년 급격히 떨어졌고, 이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후세 원장은 일본 정부가 과잉진단일 뿐, 방사능으로 인한 질병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며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축소·중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아직 사고 수습이 완벽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난지시 해제와 귀환을 강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과잉진단은 발견하지 않아도 무관한 암이라는 의미지만 과잉진단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 따라서 임산부나 영유아는 가급적 이주를 하는 것이 좋다고 후세 원장은 주장했다.

후세 원장은 "원전사고에 대해 생각해보면 10년에 한 번씩은 일어나고 있다.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원전이 많은 나라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며 "일본 정부는 아직도 방사능에 의한 건강피해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문제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의 탄핵 촛불시위와 같은 운동이 일본에서도 일어나길 바라고 있다"며 "한국과 같이 일본에서 탈핵운동이 이어진다면 아베총리도 물러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국회에서 열린 '원전과 건강, 일본 후쿠시마와 한국 원전주변' 한-일 국제 심포지움에서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교수가 국내 원전주변 갑상선압 발생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환경TV DB]

 


국내에서도 원전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갑상선암 발생 비교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아직 조사 시작 초기 단계지만 중간 평가 결과 원전 인근 주민들에게서 갑상선암이 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수원측은 과잉진단이며, 공식 환경 방사능 수치가 낮아 원인이 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백 교수는 원전과의 거리나 거주기간, 거주지의 바람의 방향에 따른 방사능 영향과의 상관관계 등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원전 인근 갑상선암 증가나 과잉증가는 아닌 것 같지만 아직은 중간 평가 단계로 앞으로 계속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며 "2012년 이후 검진이 증가돼 결과가 상승한 것으로 보이지만 초기 자료가 없어 비교 분석은 아직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을 진행한 김익중 동국의대 교수 겸 반핵의사회 운영위원은 "소송에서 이긴 갑상선암 환자에게 승소 판결을 한 판사가 병이 원전때문에 발생했다는 걸 입증할 의무나 책임이 있느냐고 말했다"며 "원전측에서 입증해야 했다는 판결이지만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이홍주 여성의원 원장은 "후쿠시마 1호기가 폭발 당시 40년 됐었고 고리원전도 2018년이면 40년이 된다"며 "고리원전 반경 20㎞ 내에 94만명, 30㎞내에는 340만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데, 후쿠시마의 피해들이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올 지 짚고 넘어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국내 원전 반경 1㎞ 내에 살고 있다는 한 주민은 "만 4세 아이들 몸 속에서도 방사능이 나왔고 모든 주민들에게서 방사능이 검출됐다"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없냐"고 물었다.

이에 김익중 교수는 원전에서 방출되는 폐기물에 대한 정부 차원의 규제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원전에서 거의 매일 방사능물질이 기체, 액체, 고체 형태로 나가는데 적어도 바다로 보내는 액체 폐기물은 규제가 가능하다"며 "액체 폐기물을 금지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대로 하면 되는데 비용 문제 등으로 정부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움은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 김경진·추혜선 의원, 탈핵에너지교수모임,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반핵의사회 주최로 마련됐다.

fly1225@eco-tv.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