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比 28%↑… 4050 개인연금 폭증

삼성증권의 연금 자산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평가금액 기준 총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잔고 27조원을 돌파했다./삼성증권
삼성증권의 연금 자산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평가금액 기준 총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잔고 27조원을 돌파했다./삼성증권

삼성증권의 연금 자산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평가금액 기준 총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잔고 27조원을 돌파했다.

14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삼성증권의 총연금 잔고는 지난달 말 기준 27조1000억원으로, 작년 말 21조2000억원에서 9개월간 약 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개인연금(DC+IRP+연금저축) 잔고는 23조원으로 34.4% 급증했다.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잔액이 지난해 말보다 각각 33%, 30%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50대 연금 가입자(투자자)의 개인형 연금이 작년 말 10조9000억원 수준에서 지난달 말 15조3000억원 정도로 약 40.6% 폭증했다.

연금 투자자산 중에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중장년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상품별 잔고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ETF 잔고는 작년 말 6조7000억원대에서 9월 말 11조원 규모로 63% 성장했다.

이러한 고속 성장의 배경에는 가입자 중심의 연금 서비스들이 있다.

삼성증권은 퇴직연금 최초로 지난 2021년 운용관리·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펀드 보수 등 별도)인 '다이렉트 IRP' 출시했다. 가입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서류 작성·발송이 필요 없는 '3분 연금'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삼성증권 모바일거래시스템(MTS) 엠팝(mPOP)은 가입자가 신속·편리하게 연금을 관리할 수 있는 '연금 S톡', '로보 일임', 'ETF 모으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또한, 업계 최초로 2023년 4월 서울·수원·대구 3곳에 별도의 연금센터를 신설, 운영 중이다. 각 센터에는 경력 10년 이상의 연금 전문 프라이빗뱅커(PB)들이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연금센터는 작년에만 200여 건의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성주 삼성증권 연금본부장(상무)는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우수한 연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IRP에 관한 관심 제고와 실질적인 혜택 제공을 위해 12월 31일까지 IRP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기간 내 IRP 계좌를 신규 개설하거나 순입금하면 다양한 경품을 지급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