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뚝·보조파일 결합한 ‘일체형 구조’…기존 기술과 차별화

현대엔지니어링은 자사가 공동 개발에 참여한 '탈착식 보조파일을 활용한 PHC(프리텐션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파일 공삭공 시공방법'이 국토교통부 건설신기술로 지정됐다고 22일 밝혔다.
공삭공 공법은 건축물의 기초 구조물을 지지할 말뚝을 기초 저면(건축물의 최하단부)까지 굴착해 시공하지 않고, 지표면에서 바로 땅속으로 박아 넣는 방식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공간이 협소한 도심지나 굴착이 어려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기존 방식은 말뚝과 보조파일을 따로 시공해야 했기 때문에 말뚝 손상이나 타격 에너지 손실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반해 새 공법은 말뚝과 보조파일을 일체형 구조로 결합해 시공한다. 말뚝 상단에 고리가 달린 마감판을 설치한 뒤, 레버 장치가 포함된 보조파일을 견고하게 연결해 한 번에 박아 넣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말뚝을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파손 위험을 줄이고, 타격 에너지도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시공이 끝난 뒤에는 보조파일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탈착식 보조파일 공법은 시공성, 품질, 안전성을 고루 향상시킨 기술로, 기초공사 분야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