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로봇 계열사 보스턴다이나믹스, 아틀라스 영상 공개
거대행동모델 적용, 인간처럼 문제 인식 및 해결 가능

20일 휴머노이드 로봇의 새 작업 영상을 공개한 보스턴다이나믹스. 사진은 연구원이 방해 차원에서 일부러 떨어진 부품을 줍고 있는 아틀라스. /출처: 보스턴다이나믹스 유튜브 채널
20일 휴머노이드 로봇의 새 작업 영상을 공개한 보스턴다이나믹스. 사진은 연구원이 방해 차원에서 일부러 떨어진 부품을 줍고 있는 아틀라스. /출처: 보스턴다이나믹스 유튜브 채널

인간을 닮은 로봇이 작업 중에 박스 뚜껑이 닫히면 스스로 인식해 다시 열고, 박스가 밀리면 당겨온다. 제품이 떨어지면 주워서 담고, 형태가 달라져 있으면 원래 모습으로 돌려 놓는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로봇 전문 계열사 '보스턴다이나믹스'가 지난 20일(현지 시각) 영상으로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의 이야기다. 공식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이번 영상에서 아틀라스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작업을 이어가는 모습을 선보였다.

아틀라스에는 보스턴다이나믹스와 도요타리서치연구소(TRI)가 공동 개발한 거대행동모델(LBM: Large Behavior Model)이 적용됐다. 덕분에 사람처럼 판단하고,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지난해 엔진커버를 이동식 보관함에 옮기는 데 성공했던 아틀라스는 이번엔 로봇개 ‘스팟'(Spot)의 부품을 선반과 박스에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특히 연구원이 일부러 작업을 방해해도, 뚜껑을 열거나 떨어진 부품을 다시 주워 담는 등 당황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았다.

아틀라스는 단순 반복 작업이 아닌, 예상치 못한 변수에 맞서 자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선반에 걸린 박스를 꺼내 다시 정리하거나, 부품을 접어 정확히 올려놓는 등 현장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지능적으로 처리했다.

LBM은 로봇이 텍스트·이미지·영상 등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스스로 판단하고 제어하도록 돕는 AI 모델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코드 변경 없이 다양한 물체를 다루는 법을 배우고, 기존보다 약 2배 빠른 동작도 가능하다.

특히 아틀라스에 적용된 LBM은 엔드투엔드(end-to-end) 기법을 활용해 매번 개발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의 물건들을 다루는 동작을 빠르게 학습하고,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아틀라스가 밧줄 매듭이나 이불 정리 같은 비정형 작업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있다. 산업 현장은 물론 가정에서도 도우미 역할을 맡을 수 있는 로봇 개발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이번 시연은 양사 공동 연구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보스턴다이나믹스와 TRI는 앞으로도 전신 활용 능력과 AI 모델을 결합한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스캇 쿠인데르스마 보스턴다이나믹스 로보틱스 연구담당은 “이번 영상은 범용 로봇이 우리의 일상과 업무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준다”며 “단일 신경망 기반 학습은 아틀라스 같은 고성능 로봇이 전신을 정교하게 활용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