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청주시·가스안전공사 등과 협력해 청주 수소도시 조성 본격화
청주 청정수소 생산시설 규모 4배 확대… 충전소·모빌리티 확대도 병행

24일 '충청북도 수소도시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왼쪽부터)진수남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 직무대행, 김동욱 현대차그룹 전략기획실장, 김영환 충북도지사, 이범석 청주시장, 박경국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 이중호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장.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24일 '충청북도 수소도시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왼쪽부터)진수남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 직무대행, 김동욱 현대차그룹 전략기획실장, 김영환 충북도지사, 이범석 청주시장, 박경국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 이중호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장.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과 협력해 청주시를 수소도시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24일 청주오스코(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소재)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충청북도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충청북도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정부의 탄소중립 2050 목표 및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등에 발맞춰 청주를 수소 에너지 기반의 친환경 스마트 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특히 해당 사업은 중부 내륙 지역의 수소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현재 청주시에 건설 중인 바이오가스 활용 청정수소 생산시설의 규모를 기존 계획 대비 4배 확대(일 2000kg)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의 바이오가스 청정수소 생산시설은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처리할 때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메탄)를 정제·개질해 고순도의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하루 2000kg의 청정수소는 청주 지역 내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충전 인프라 설치 확대, 수소 모빌리티 도입 등의 노력도 함께 기울일 계획이다.

충청북도와 청주시는 수소도시 조성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및 여러 인허가 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수소가스 안전 허브센터 설립과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며,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사업 성과 및 추진 상황을 관리한다. 한국전력공사도 스마트 전력 인프라 구축에 참여해 수소도시 조성의 기반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충청북도 청주시 수소도시 조성 협력을 통해 지역 내 수소 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소 사회로의 빠른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이날 업무협약식에 이어 진행된 ‘충청북도 수소경제 포럼’에서 현대차그룹은 수소 브랜드이자 비즈니스 플랫폼인 ‘HTWO’를 기반으로 펼쳐온 국내외 수소 사업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충청북도 최초의 수소도시 조성을 통해 지역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라며 "HTWO를 중심으로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밸류체인 전반을 강화하고, 외부 파트너십 및 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외 수소 사업 확대를 더욱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에서 진행 중인 수소 생산 실증 사업 ▲파주시 및 고등기술연구원과 함께 추진 중인 미니 수소도시 조성을 위한 자원순환 사업 ▲인도네시아 내 그룹 주요 생산 거점이 위치한 서부 자바주 내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 도입 사업 등을 수소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도 병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