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준공…기초유분·배관 통해 국내 석화사 공급
울산 다운스트림 경쟁력 향상·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전망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공사현장./에쓰오일 제공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공사현장./에쓰오일 제공

에쓰오일이 9조2000억원을 투자하는 초대형 석유화학 제품 생산시설 건설공정이 절반을 넘어서며 순항하고 있다. 

샤힌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내년 상반기 준공되면 글로벌 수요성장 둔화와 중국의 대규모 설비 증설 및 역내 공급과잉 지속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쓰오일은 울산지역에 짓는 석유화학 제품 생산시설 샤힌 프로젝트의 EPC(설계·구매·건설) 공사 공정률이 55%를 넘어섰다고 17일 밝혔다.

에쓰오일은 내년 상반기 신규시설 준공 후 하반기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 글로벌 수요성장 둔화와 중국의 대규모 설비 증설 및 역내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하반기 상업 가동 이후에는 에틸렌(180만톤), 프로필렌(77만톤), 부타디엔(20만톤), 벤젠(28만톤)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며, 그중 에틸렌을 원료로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LLDPE 88만t·HDPE 44만톤)을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에쓰오일은 샤힌 프로젝트 시설에서 생산한 기초유분을 국내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업체들에게 주로 배관을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신규 배관망 등 물류 관련 인프라 구축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에쓰오일과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석유화학 기업들 간 안정적인 원료공급을 위한 장기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다운스트림 업체들에게 적시에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밸류체인 내 운송비 절감 효과를 제공할 것"이라며 "경쟁력 있는 석유화학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장기적인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샤힌 프로젝트는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48만㎡의 부지에 TC2C(원유를 직접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하는 시설), 스팀 크래커(에틸렌 생산시설), 저장 설비 등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전통적인 전통적인 석유화학 원재료 생산 방식에 비해 원가가 크게 절감되며 석유화학 원료용 유분 수율이 기존 설비에 비해 3~4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쓰오일은 샤힌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TC2C 신기술 도입 등 원가 경쟁력과 에너지 효율성 면에서 탁월한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핵심 설비인 TC2C는 나프타 등 석유화학 원재료 생산을 증대하기 위해 최적화된 공정으로, 전통 석유화학 산업 대비 탄소집약도가 낮은 석유화학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의 에너지 저감 및 탄소저감 신기술, 운영 효율성 수준을 고려하면 국가경제의 중추역할을 담당해온 중화학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