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지난 해 12월 25일부터 30일까지 일본 농림수산성, 아오모리현, 생산단체 등을 방문해 현지 AI 방역제도를 조사한 '일본 AI 방역체계 현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비슷한 시기에 AI가 발생한 일본이 가축전염병 예방과 대응 시스템이 우리나라에 비해 월등히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가금산업 현황을 보면 일본은 닭과 오리 사육 마릿수가 3억1000만 마리 수준으로 우리나라 1억5500만 마리에 비해 2배 정도 많다.

하지만 일본은 대규모 가금사육단지가 거의 없고 사육밀집도 또한 우리나라 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AI가 발생한 일본 아오모리현의 경우 1차 발생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10km 이내 농장이 7개에 불과했다. 

이는 국내에서 AI 피해가 가장 컸던 충북 음성군의 경우 맹동면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10km 이내에 207개 농장, 전북 김제 용지의 경우는 410개 농장이 밀집해 있었던 것과 대조된다.

특히, 일본은 100만 마리 이상 사육하는 농장이 20여 가구가 있으나 대부분이 산이나 고립된 지역에 위치해, AI 바이러스 인근 전파가 원천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은 지난해 11월28일 아오모리현에서 AI가 발생하자마자 아베 총리가 주재하는 각료회의가 소집됐다. 

농가별 예방조치, 피해지역 정보수집 등에 대한 총리 지시가 하달됐고 이틀 뒤인 30일, 각의 결정사항으로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내각관방대신과 농림수산대신을 부본부장으로 하는 AI대응본부가 설치됐다.

AI 발생후 한 달여가 지난 시점에서 총리가 AI회의를 주재하고 정부차원의 컨트롤타워를 구성한 우리나라 사정과는 확연히 다르다.

일본은 신속한 살처분을 AI 확산방지의 가장 중요한 조치로 인식하고 24시간내 살처분, 72시간내 매몰 완료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대신 살처분은 발생농장을 대상으로만 실시한다. 예방적 살처분 역시 농장관리자가 같은 농장 등 역학을 고려해 제한적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현지조사 결과를 포함해 오는 4월까지 AI발생 등에 따른 근본적인 가축방역 개선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