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이 지난 7일 대전시청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위한 충청권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이 지난 7일 대전시청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위한 충청권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채석원 기자] 충남도가 다양한 공기질 개선 사업을 연이어 벌여 관심을 끌고 있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절반가량이 충남에 몰려 있는 충남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전국 1위’ 지역이다.

충남도는 도내 대기오염물질 배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음달 15일까지 전수조사를 실시, 내년부터 소규모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비 등을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지원 사업은 미세먼지 저감과 공기질 개선 등을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에 사업비를 요청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지원 사업은 △굴뚝자동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관리비지원 △대기환경기준 강화에 따른 소규모 방지시설 설치사업 △사물인터넷(lot) 활용 소규모 방지시설 원격 관리기기 설치사업이다.

도는 지난해에도 석문에너지 등 6개 중소기업에 대해 정기점검 및 정도검사를 위해 약 7000만원을 지원한 바 있으며, 올해도 9000만원을 투입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굴뚝자동측정기기 운영관리비 등을 지원한다.

충남도는 2026년까지 도내 30기 중 14기의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를 48%까지 확대하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지난해 공식화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양승조 충남지사는 최근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등을 톷해 2022년까지 2015년 기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35.3%에 해당하는 9만 8571t을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민선 7기 임기 내 초미세먼지를 정부 목표(17㎍)보다 강화된 15㎍을 달성해 맑은 하늘을 도민께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단순한 ‘말잔치’가 아니다. 충남도는 지난달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를 위한 태스크포스(TF) 실행팀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 실행팀은 충남도 에너지과를 중심으로 관련 부서 및 사업소는 물론 탈석탄 동맹을 주도하는 해외 정부의 실무자 및 기후솔루션 등 16명으로 팀을 구성해 매월 1회 이상 중지를 모으기로 했다. 자문팀도 구성됐다.

광역·기초 시의회, 시민사회단체, 유관기관, 학계 및 국내외 언론 관계자 등 각계각층 전문가 21명으로 구성된 자문팀이 분기 1회 이상 회의를 열어 노후 석탄화력발전 조기 폐쇄와 관련한 의견을 모은다.

주요 전략은 △노후 화력발전 조기폐쇄 논리개발 연구용역 △도의회 및 시군 탈석탄 정책 토론회 △산자위 국회의원과의 국회세미나 △환경정책협의회(환경부·수도권·충남) 조기폐쇄 안건 논의 △타 시도(강원·전남·경남)와의 탈석탄정책 협약 체결 △국내외 언론 및 NGO 탈석탄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충 등이다.

도의회도 충남도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충남도의회는 지난달 ‘충남 에너지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 조례안의 골자는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 등 개정 △에너지 관련 공익활동 협력 강화 신설 △지역 에너지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신설 △에너지 이용 합리화 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신설 △에너지 수요관리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지원 근거 마련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비전 실행 등을 위한 에너지센터 설립 근거 및 센터의 기능 및 역할, 사업범위 등 신설 등이다.

충청권 지자체도 충남도에 협조하고 있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 7일 '노후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위한 충청권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양승종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은 공동선언문에서 “그동안 석탄화력발전은 국가 경제 발전을 견인해왔지만 이로 인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은 국민에게 큰 고통과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면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를 촉구했다.

충남도는 에너지전환 정책이 성공하면 화력발전소 30기 중 절반에 가까운 14기를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dtimes@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