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부족한 한국, 찜통더위 속 천태만상
언제까지 수요예측 없이 '절전'만 외칠건가

지독히도 더운 여름이다. 체감온도만 보면 기상청 통계 상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된 1994년보다도 더 덥게 느끼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부족한 전력 때문에 1997년 IMF 당시 대국민 금모으기마냥 직장·학교 등 여기저기서 '절전'을 강요받고 있어서다. 에너지의 96% 가량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과연 정부 말대로 대안이 없는 건지, 환경TV(그린포스트코리아)는 오는 22일로 10년째인 '에너지의날'을 맞아 전력위기 현황과 극복 방안을 살펴보려 한다./편집자 주

◆연재순서

①공무원·직장인·학생, 절전 때문에 "일·공부 못하겠다"
②3년째 전력난, 언제 쯤 스마트그리드 수혜받나
③신재생에너지 고작 1%, 세계는 광속 한국은 저속
④환경부 장관, '에너지와 기후변화' 공존(共存)을 말하다

▲ 기록적인 폭염 속에 맞이한 올해 열번째 '에너지의 날' 사무실의 다양한 모습 = 출처 SNS

 

"지구야 미안해"

전력난으로 사무실 실내온도 규제가 강화되자 더위에 지친 한 직장인이 SNS를 통해 온라인 상에 뱉어낸 말이다. 무분별한 인류의 에너지 사용과 이를 조장한 현대 문명이 결국 지구를 찜통 더위로 몰고 간 것을 빗댄 것으로 해석된다.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 국민들은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불만, 반성 등 다양한 의견을 쏟아낸다.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지만 결론은 모두 힘들다는 얘기다.

초·중·고 개학과 피크 휴가기가 끝나면서 본격적인 일상으로 돌아온 19일, 전국의 국민들은 여전히 찜통더위와 싸우며 시름하고 있다.

◇시민들의 아우성 "더워서 일 못하겠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일한다는 'zy****'는 트위터를 통해 "에어컨 안 틀어주는 것도 모자라 아예 사무실 불 다 끄고 정수기도 사용하지 말라네요"라며 "현재 실내온도 36도"라는 소식을 전했다. 포항시청에 근무한다는 한 누리꾼은 "사무실 온도가 38도에 이른다. 찜질방이다"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공공기관이 아닌 일반 사무실도 처지는 별반 다르지 않다. 일반 사무실에 근무하는 많은 누리꾼들은 사무실 온도가 30도를 넘어선다며 각자 회사 대표와 건물주들에게 불만을 털어놓고 있다. 누리꾼 'By****'는 "터보모드로 에어컨을 켜도 사무실 온도는 33도"라고 전했고, 'bl****'는 사진과 함께 "사무실 온도가 34도를 넘어가고 있네요"라고 밝혔다.

찜통더위에 열대야까지 겹치자 에어컨이 없는 가정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 양천구 신월동에 사는 이모씨(38)는 "날이 더워서 자다가 몇 번을 깬다"며 "잠을 설친 덕에 사무실에서도 늘 졸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집에서 잠을 설친 많은 누리꾼들은 SNS를 통해 졸려 죽겠다는 투정을 늘어 놓는다. 대부분의 시민들이 더워서, 혹은 더워서 잠을 설친 탓에 졸려서 일을 못하겠다는 의견이다. 이같은 짜증은 아침 출근길로도 이어진다.

◇직장인 "여름에는 정말 출근하기 싫어요"

사람들이 빽빽이 서 있는 아침 출근길의 지하철 1호선이지만 탑승하는 순간만큼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지하철 내부가 시원해서가 아니다. 승강장이 너무 더워서다.

그나마도 이동하다보면 다시 더위가 직장인들을 덮친다. '마냥 시원한 지하철'은 이미 고릿적 얘기다.

1호선 관악역에서 용산으로 출근하는 직장인 김모씨(31)는 "작년에는 지하철이 시원하다못해 간혹 추울 때도 있었는데 올해는 시원해질만하면 덥다"며 "특히 출근할 때면 에어컨을 틀어도 찜통 같다"고 토로했다.

부천에서 종로로 출근하는 직장인 박모씨(28·여) 역시 "아침 출근길이면 땀냄새와 아저씨들의 체취 때문에 불쾌감을 느낀다"며 "여름에는 특히 더 심해서 무더위와 겹치면 숨쉬기 힘들고 구역질도 올라올 지경"이라고 털어놓았다.

서울메트로는 정부지침에 따라 지하철 실내온도를 26도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시간에는 최대 30도까지 실내온도가 상승한다. 결국 더위는 출퇴근자들의 몫이다.

◇수능 코앞에 둔 고3 수험생들 "공부하기 힘들어요"

무더위 속 절전에 직장인들만 고생하는 것이 아니다. 수능을 2개월여 앞둔 고등학교 3학년생들에게도 '절전'은 최악의 장애물이다.

서울 S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이모군(18)은 "밤에 학교 빼주면 뭐하나 낮에 더워 죽을 지경인데"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학생 양모군(18)은 "교무실은 에어컨 빵빵하게 잘 나오는데 교실은 실내온도가 31도다"라며 화를 내기도 했다.

현재 쾌적하고 시원한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학교는 손에 꼽을 정도다. 대부분의 학교는 무더위와 씨름하며 향학열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교육청이나 각 급 학교장들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 동참에서 비롯됐다. 교실의 경우 실내온도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 결정으로 대다수 학생들이 무더위와 싸워가며 공부를 해야 하는 처지다.

이들 대부분은 SNS 등을 통해 "더위에 지치다 보니 집중도 안 되고, 밤이 돼도 체력이 떨어져 쉬기 바쁘다"며 "이렇게 공부해도 되는건지 불안하다"는 등의 의견을 내비친다.

2004년, 이전 대비 역대 최대 전력 소비를 보여 에너지를 아끼자는 의미로 제정된 '에너지의 날'도 오는 22일로 10년째를 맞는다. 10년이 지난 지금에야 우리는 너무도 뼈저리게 에너지의 소중함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mhlove@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