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라임운용 사기 알면서도 국내 투자자 모았다고 의심·검찰 고발 검토
브로커 서비스로 레버리지 대출 내준 신한금융투자도 일정 부분 책임 있어

사진 라임자산운용 인터넷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 라임자산운용 인터넷 홈페이지 갈무리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재형 기자]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사모펀드 운용사 라임자산운용(라임운용)이 투자한 미국 펀드업체가 다단계 금융사기를 벌인 것으로 밝혀졌다. 라임운용 측이 투자한 금액은 2400억원으로 전액 손실이 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문제가 된 헤지펀드의 부실을 라임 측이 미리 알고 있었다고 의심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30일 업계 등에 따르면 국내 1위 사모펀드 운용사인 라임운용은 개인고객들로부터 받은 투자금 2436억원과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제공하는 신한금융투자로부터 받은 레버리지 대출 3500억원 등을 합쳐 6000억원 가량의 무역금융펀드를 운용했다.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란 헤지펀드가 자금 운용과 투자를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주식대여, 담보를 통한 레버리지 대출 제공, 자문, 리서치 등의 종합서비를 제공하는 업무를 말한다.

하지만 라임운용이 투자한 6000억원 중 40%에 해당하는 2400억원이 투자된 글로벌 무역금융 전문 투자회사인  IIG의 헤지펀드 STFF에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나면서 문제는 불거졌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최근 IIG의 등록을 취소하고 관련 펀드 자산을 동결하는 긴급 조치를 했다. SEC 조사 결과 IIG 헤지펀드는 지난해 말 투자자산이 디폴트 상태가 됐음에도 이를 속이고 '가짜 대출 채권'을 판매했다.

환매 신청이 들어오면 신규 투자 자금으로 이를 돌려막는 유사수신 다단계 금융사기, 즉 폰지 사기 수법을 써오다 덜미를 잡힌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모펀드가 디폴트되면서 라임운용 펀드에 투자한 국내 개인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아예 못 돌려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애초 이 펀드는 손실이 나면 일반 투자자가 그  손실을 우선 부담하도록 설계돼 있어서다. 

금융감독원은 라임운용이 이같은 IIG의 헤지펀드 부실을 알고도 국내 투자자들에게 이를 숨긴 채 펀드 장부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투자자를 모았다고 의심하고 검찰 고발을 검토 중이다. 또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를 제공한 신한금융투자에도 일정부분 공동으로 책임져야할 사안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jh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