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선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이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 상에서 노출될 위험이 있는 백혈병 유발인자가 기준 수치보다 매우 낮은 양이 노출돼 인체에 무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최종 발표됐다. 그러나 과거 노출자들에 대한 연구 내용은 포함되지 않아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6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가 지난 2009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 실시한 '반도체 제조 사업장 정밀 작업환경평가 연구' 내역을 발표하고 가공라인 및 조립라인 공정에서 극히 미미한 수치가 발생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삼성반도체 기흥·온양 공장을 포함, 삼성하이닉스 및 페어 차일드 코리아 등 3개 회사의 지역별 공장을 대상으로 가공라인 5곳, 조립라인 4곳에 대해 실시됐다. 조사 방식은 작업자들이 배지를 달고 근무한 뒤 이를 수거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지난 3년간의 누적치를 평균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설명에 따르면 수십개의 유해 인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으나 이 중 백혈병 유발인자 및 폐암 유발인자가 인체에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조사했다고 보건공단 측은 밝혔다.

이중 문제의 소지가 있었던 유해 물질은 세 가지로 벤젠, 포름알데히드, 전리방사선 등이다. 모두 백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우선 벤젠의 경우 웨이퍼 가공라인과 반도체 조립라인 일부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노출기준인 1ppm보다 낮은 0.0001부터 최대 0.0099ppm만 발생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포름알데히드 역시 노출기준인 0.5ppm에 못미치는 0.001~0.015ppm이 발생했으며 전리방사선 또한 개인 노출선량한도인 연간 50mSv(마이크로시버트)보다 낮은 0.011~0.015mSv가 연간 노출량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폐암 유발인자로 알려진 비소가 웨이퍼 가공라인의 이온주입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며 노출기준인 0.01mg/㎥을 최대 6배 초과하는 양이 나왔다.

박정선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특히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는 협력업체 근로자에게 노출 위험이 높아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러나 "이는 정상적인 작업 절차를 무시하는 경우 노출되는 것으로 사실 이런 사항이 있었는지도 사측에서 간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명했다.

고용노동부 측은 이번 연구결과가 큰 의미를 지닌다기 보다는 그 동안 있어 왔던 유해 물질 노출 논란에 하나의 비교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승순 고용노동부 제조산재예방과 과장은 "연구 대상이었던 3개사에 대해 국소환기 장치 보완 등 시설 개선, 발암물질이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을 안전한 물질로 대체, 작업환경측정·특수건강진단 추가 실시 및 협력업체 근로자 건강보호대책 마련 등을 시정토록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과장은 그러나 연구 결과가 산재처리에 미칠 파장에 대해서는 "그 부분은 앞으로 더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모호한 입장을 취했다.

결론만 정리하자면 미미한 농도가 발생돼 지금까지 있었던 의혹과는 상관없다는 입장을 정부 측은 분명히 했다. 그래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서 정부 차원에서 시정 명령을 내릴 계기가 만들어졌으므로 시정 명령은 수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2008년 이전 자료에 대해서는 조사 결과가 없고 개인별 특성에 대한 분석이 결여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박 원장은 "2008년 이전 자료는 없다"고 못박으면서 "개인의 경우 편차가 있을 수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발생하는 백혈병 환자들까지 포함해 오는 2019년까지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 측은 삼성반도체 노동자들의 백혈병 발생 문제가 불거진 지난 2008년 집단 역학조사를 실시, 동년 말에 백혈병 발생 확률이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이상 높다는 결과를 낸 후 지금까지 정밀 조사를 실시해 왔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