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논문은 1년에 1.3건 꼴…보호 대책은 전무

 

서울대학교가 전남 광양 백운산 일대 1만㏊(헥타르)에 달하는 산림을 학술림을 명분으로 영구취득하려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녹색연합에 따르면 서울대는 2011년 법인화 이후 이를 근거로 학술림이 국유화 될 경우 교육과 연구에 제한을 받는다는 주장으로 무상양도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녹색연합은 서울대가 정작 학술림에서 연구활동을 열심히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서울대는 백운산 학술림을 양도받은 1946년 이후 지난 71년간 '광양 백운산'에 대해 55건의 논문을 작성했다. 1년에 1.3건 꼴"이라고 밝혔다.

이정도 수준의 연구 활동은 산림청의 국유림으로 관리하면서 허가를 받고 진행해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학술림이 산림청으로 귀속되더라고 신청만 하면 언제든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산림청에서는 전국 6곳에 산림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백운산 서울대 학술림은 광양시 전체 면적 458㎢의 18%를 차지하는 80㎢에 달하며, 남해안에 인접한 산 중 유일하게 해발고도 1000m가 넘는 높은 산이다. 한라산 다음으로 식물 분포 등 생물다양성이 풍부해 자연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특히 백운산 일대 학술림은 일제시대 당시 백운산 일대 주민 소유의 임야를 조선총독부가 강탈해 동경제국대학의 연습림으로 지정한 일제시대의 잔재다. 광복 이후 교육부로 소유권이 넘어갔지만 교육부와 산림청, 기재부 등 관련 부처들의 무관심 속에 서울대가 이를 자산으로 귀속하려 하고 있다는 것.

녹색연합은 "산림은 고도의 공익적 공간으로 산사태 및 산불, 소나무재선충병 등의 산지재해에 대한 대책과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하지만, 서울대는 학술림으로 사용하면서 기본적인 공익적 산림 관리조차 외면했다"고 비난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하거나 대형 산불이 발생해도 서울대는 이에 대한 예방이나 감시, 방지 활동이나 진화 대책 등을 세우지 않고 있다. 

또 지역 주민들이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는데 대해 평균 대비 2배 이상 비싼 수수료를 받고 있으면서도 고로쇠 나무 보전을 위한 격년제 채취 원칙 등은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종 관리 책임자인 교육부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주무기관으로서 학술림에 대한 관리나 연구에 대한 기준조차 전무한 상태다.

반면 서울대와 유사하게 국유림을 대부받아 관리하고 있는 강원도 정선 강원랜드의 경우, 산림부서와 안전 관리실을 별도로 두고 예산과 인력을 배치해 소나무재선충, 산불, 산사태 등에 대응하고 있다.

녹색연합은 "서울대 산림대학이 광양으로 캠퍼스를 이전하지 않는 이상 서울대가 광양 백운산에서 학술림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며 "광양 백운산은 마땅히 국가 재산으로 귀속되어 국유림으로, 국가의 산림으로 제대로 연구되고 관리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