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기상청]

 


기상청의 기온 오차범위 제공 계획이 오보를 피하기 위한 미봉책이라는 논란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기상청이 제공하고 있는 중기예보는 사흘 뒤부터 열흘 뒤까지의 예보로 시군별 날씨와 기온정보다. 먼 미래 추정치이기 때문에 중기예보는 단기예보보다 정확한 예측을 하기 더욱 어렵다.

이에 기상청은 11월부터 중기예보에 가장 확률이 높은 기온 값을 표시하고, 기온의 오차범위를 제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와 함께 기상청은 중기예보에 강수확률도 도입하기로 했다. 현재 비나 눈, 맑음 등이 '높음' '보통' '낮음' 이라는 표현 대신 눈이 내릴 가능성을 확률로 표시한다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15일 환경TV와의 인터뷰에서 "예상되는 특정 기온 값을 제시하는 것은 지금과 같지만 여기에다 예상되는 기온 오차범위까지 추가하는 것"이라며 "정확한 예보를 위한 것이지 오보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표현은 억울하다"라고 밝혔다.

기온 오차범위나 강수확률은 참고사항일 뿐 여전히 확정 값이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예보 능력은 못 키우고 오차범위를 넣어 미봉책을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9월 30일 환노위 국감에 따르면 기상청은 과학예보 선진화를 위해 지난 7년간 9천억원 가까이 투자했지만 예보 정확도는 나아지지 않았다. 단기예보 오차는 2011년 이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고 중기예보의 오차는 오히려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마철 예보 정확도 역시 50%를 밑돌았다. 2012년에는 52.3%, 2013년에는 40.1%, 2014년 27.9%, 2015년 49.0%였고, 2016년 여름에도 40%에 그쳤다.

이에 기상청 관게자는 "확률예보를 할 때 마다 오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한다. 하지만 자연을 예측한다는 것 자체가 확률이다"라며 "정확한 수치를 적어주는 확정예보와 함께 오차범위를 넣어 미봉책 논란을 불식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미 일본에서는 중기예보에 이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며 "굉장히 많은 노하우나 기술이 필요하지만 11월 경에는 통보문이 바뀔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상청은 금년 정책목표를 '전문역량과 미래과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서비스 향상'으로 정하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17년 업무계획을 지난달 12일 발표한 바 있다.

weathernara@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