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률 높여 환경오염 막는 '순환자원정보센터'
소각·매립되거나 단순 재활용되는 폐기물·중고물품 재활용 활성화...누구나 이용가능

환경부는 폐자원 종합정보시스템인 '순환자원정보센터'를 열고, 소각·매립되거나 단순 재활용되는 폐기물과 중고물품의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부는 폐자원 종합정보시스템인 '순환자원정보센터'를 열고, 소각·매립되거나 단순 재활용되는 폐기물과 중고물품의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버려지는 폐자원을 에너지원으로 쓰는 등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지만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정보 부재로 상당량의 가치 있는 자원이 폐기 처분되는 실정이었다. 환경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폐자원 종합정보시스템인 '순환자원정보센터'를 열고, 소각·매립되거나 단순 재활용되는 폐기물과 중고물품의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있다. 

환경부는 '2021 환경백서'를 통해 순환자원정보센터에 대해 이같이 소개했다. 순환자원정보센터는 폐기물 배출·운반처리자부터 지자체 재활용센터, 일반 국민까지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곳으로 폐기물, 중고물품, 중간가공품, 재활용제품 등을 거래해 자원순환율을 높이고 있다.

특히, 폐기물처분부담금 도입 등으로 재활용시장으로 신규 유입되는 폐기물이 급증하면서 환경부는 시장기능 활성화를 위해 폐자원의 유통·거래·품질 정보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폐기물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수요·공급 정보 제공

순환자원정보센터는 자원이 가치있게 순환 이용될 수 있도록 폐기물·순환자원·재활용가능자원·재활용제품 등 유통 정보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관련 사업자를 지원하고, 전자수의·전자입찰·순환장터를 통해 수요와 공급 정보를 제공하는 폐자원 등 자원순환 종합 정보시스템이다.

자원순환정보센터는 2012년 행정자치부 u-서비스 지원사업으로 기본 정보시스템 구축 이후 안정적 운영을 위해 폐합성수지 폐기물 등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2013년부터 '순환자원거래소'라는 명칭으로 운영됐다. 

이후 ‘찾아가는 폐자원 유통지원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정보 부족으로 폐기물을 단순 소각·매립하던 사업장에 폐자원의 적정처리와 재활용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체계를 마련했다. 이후 폐자원 분야의 특화된 거래·유통·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폐자원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수의견적, 전자입찰 등 폐자원 전자거래서비스를 강화했다.

2018년 1월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에 의해 ‘순환자원정보센터’로 개편됐고, 과거 폐자원의 거래가 목적이었다면 현재는 '정보제공' 중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자 입찰시스템은 2018년 8월 행정안전부 고시 개정에 따라 폐기물 등의 맞춤형 정보처리 장치로 지정됐다. 향후에는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의 폐자원 입찰·계약 사무도 순환자원정보센터에서 처리하도록 제도화할 계획이다.

◇ 자원순환률 높여 '환경오염' 막는다

순환자원정보센터는 최근 '폐기물관리법' 개정과 함께 공공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공동주택 재활용폐기물의 관리 강화를 위해 공동주택 재활용폐기물처리 전자신고 기능을 신규로 구축하고 2020년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이처럼 정보센터는 △순환이용 기술 개발 및 보급 △순환자원의 인정 △품질표지의 인증 △순환자원, 재활용제품 및 폐기물의 수요ᆞ공급 등 유통 △자원순환산업 및 자원순환시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폐기물 거래량을 증가시키고, 처리비용의 절약 등을 통한 수익구조 개선으로 재활용 시장의 성장과 관련 업계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정보센터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시스템 운영 효율을 향상해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맞는 모든 폐자원 및 중고제품의 종합포털거래시스템으로 자리잡ㅂ았다.

특히 정보센터를 통해 자원 이용률이 높아지면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해 원유대체, 원자재난 해소 등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 폐기물 재활용을 높여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약 3조 7982억원이고, 약 1만 443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