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당시 대기 중 불산 농도가 정부가 발표한 1ppm이 아닌 최고 15ppm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불산의 작업자 노출기준인 0.5ppm보다 무려 30배가 넘는 수치다. 

환경운동연합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17일 종로구 누하동 환경운동연합 환경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조사를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구미 불산유출사고 환경 및 노동자 피해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두 단체는 "사고지점 인근 마을의 식물에서 측정한 불소 농도를 토대로 사고 당시 대기 중 불산 농도를 역계산한 결과 최고 15ppm에 달해 한때 IDLH 값30ppm의 50%까지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IDLH는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유해물질 노출 기준으로, 특정한 유해물질에 노출된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영구적 건강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를 가르킨다.

두 단체는 지난 7일 사고지점에 인접한 산동면 봉산리에서 식물시료 25개를 채취, 잔류 불소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는 확인된 식물 내 불소 함량을 기준으로 이뤄졌으며 노출 시간은 1일로 산정해 추정했다.

측정 결과, 유럽연합(EU)의 가축 먹이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는 30~150ppm을 넘는 107.6~9594.1ppm이 검출됐다.

이 수치를 토대로 과거 외국 연구에서 결정된 축적상수를 공식에 대입, 사고 당시 이들 식물 주변 대기 속 불산가스 농도를 역계산 한 결과 지점에 따라 0.1~15.0ppm이라는 추정치가 도출됐다.

이윤근 노동환경연구소장은 "지표수나 하천과 달리 식물 내 불소는 안정적으로 잔류해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히 보여준다"며 "환경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대기 중 불산 농도 측정치인 1ppm은 당시 상황을 매우 과소평가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 소장은 "최고치가 IDLH의 절반 수준이었다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상황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고 지적했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주민과 노동자의 고통을 단순한 문제제기로 치부한 정부의 태도가 기만적이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두 단체는 식물조사 대상에서 빠진 산업단지 일대에서도 불산 농도를 측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는 한편 사고 지역 노동자들의 건강 피해 등에 대한 사례를 수집, 정부에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