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기술원 10년 운영의 초라한 성적표..."특단의 개선방안 필요"

환경부 산하 환경산업기술원이 운영하고 있는 환경벤처센터 '육성기업'의 절반이 폐업 또는 매출 "제로"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벤처기업 육성 현황과 비교할 때 지극히 저조한 결과로, 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벤처 발굴 및 육성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일 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2001년 이후 지난 2010년까지 환경벤처센터에 입주했다가 정해진 기간내에 정상적으로  나간(졸업한) 기업은 27곳으로, 전체 입주 기업 53곳의 절반에 불과하다. 연평균 4.4곳의 환경벤처기업이 유망 기업으로 선정되어 입주했다가 이 가운데 두 곳 정도만이 살아남은 것.

특히 이들 27곳의 환경벤처기업 가운데 사업을 계속 영위하는 곳은 12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15곳 가운데 9곳은 아예 폐업했고, 6곳은 매출액이 전무하다. 

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벤처센터는 유망 환경기술 보유기업을 발굴, 센터에 입주토록 한 뒤 환경산업기술원측이 창업 및 운영 등을 지원토록 하기 위해 지난 2000년 12월 환경기술및환경산업지원법 및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해 설립됐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중도탈락하는 환경벤처기업이 많은 것은 벤처기업이라는 특수성을 무시하고 입주기업에게 과도한 성과를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환경벤처센터는 입주기업의 성과와 운영 상황들을 합산해 종합점수 60점을 넘지 않으면 강제퇴거 조치한다.

또 입주한지 3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퇴거 기준이 70점으로 올라간다. 벤처기업이 고유의 기술 개발과 사업화 방안에 집중토록 하기 보다는 정해진 기준을 맞추기에 급급하도록 내몰고 있다는 비판도 크다.

환경벤처 기업으로서는 저렴한 사무실 임대료에, 창업 및 R&D 지원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환경벤처센터 입주가 매력적이기는 하지만, 졸업기업들의 성적표가 초라하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환경벤처센터 입주를 추진중인 벤처기업 대표 김모씨는 "환경벤처센터 입주가 환경 벤처를 육성한다는 제도의 취지에 제대로 부합하는지 의문"이라면서 "다양한 환경 신기술들에 대한 입주 폭을 넓히고, 입주하지 않더라도 환경벤처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등 실제 기업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상화 환경벤처센터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환경벤처센터 운영문제가 거론돼 경영 컨설팅과 홍보물 제작 등 소프트웨어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 해 2억원도 안 되는 지원예산들은 기관운영의 경상비로 모두 지출돼 지원확대에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육성방안을 내놓고 파격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어 환경벤처센터의 성적은 더 초라해 보인다.

경기도는 도내 녹색성장 관련 중소벤처기업 및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총 300억원 이상 규모의 투자조합 결성을 추진하고, 성남시는 연 200억 원을 투자해 벤처펀드 신규조성, 광역교통망 개선 지원 등 벤처기업 1,000개 시대를 열고 있다.

국회 조해진 의원(새누리당)은 "환경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해 환경벤처센터를 운영했지만 절반이상이 폐업하거나 매출액이 전혀 없다는 것은 그냥 넘길 수 없는 문제"라며 "소관 부처인 환경부가 서둘러 환경벤처센터에 대한 운영실태를 점검한 뒤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binia@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