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 금융리스크 급증…리스크 지배구조 확립 소수 지주사에 그쳐

문재인 정부가 민간과 두 번째 애국펀드 '뉴딜펀드'를 띄웠다.(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금융사의 기후·환경 리스크에 따른 대응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최근 기후·환경 금융리스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국내 금융회사들의 기후·환경 금융 인지수준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일었다. 

24일 이시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21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올해 초 국제결제은행(BIS)은 기후·환경 사건의 경우 불확실성과 극단치 발생 가능성이 높고 과거 데이터로 예측 불가능한 특징이 있다며 환경 리스크로 인한 ‘그린스완’ 현상을 경고한 바 있다.

국제 사회에서는 기후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협약과 이니티셔브, 협의체의 등장, 국가 차원의 규제변화 등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으로 기후·환경변화에 대한 목소리는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에 국내 금융회사들도 관련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리스크 지배구조를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기후환경 관리 책임과 역할의 배분, 이사회의 기능 등과 관련된 감독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해외에서는 각국 중앙은행 및 감독당국의 녹색금융 협의체인 NGFS가 지난 5월 기후관경 리스크 감독 가이드라인을 발간하고 감독방향을 제시했다.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자도 파리기후변화협정 재가입, 탄소중립 가속화 정책 등을 추진한다고 공언했다.

국내에서도 정부가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그린뉴딜이 추진 중이며 금융당국은 NGFS가이드라인에 따라 국제적 모범사례를 반영한 금융권의 기후환경 리스크 관리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금융 회사들도 소수 지주사를 중심으로 자발적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KB금융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이 탈석탄 금융과 탄소배출 제로를 선언하며 친환경 금융을 가속화했으며 한국거래소는 그린뉴딜 지수를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 금융회사들은 아직까지 기후환경 금융리스크에 대한 인지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금융지주, 은행 등이 기후환경 리스크에 대한 대응 노력을 시작했으나 일부 대형 금융사에 그치고, 리스크 익스포져 분석, 관리 전담 조직, 의사결정 체계 수립 등에 대한 계획은 전반적으로 부재하거나 취약하다”고 말했다.

실제 기후환경 리스그 전담조직을 마련하거나 정례적인 이사회 보고나 논의가 이뤄지는 금융회사는 KB금융, 신한금융을 비롯해 소수에 그치고 있다.

이어 “리스크 지배구조는 리스크를 통제할 수 있는 전반적인 의사결정 체계, 권한과 책임의 배분 등 적절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가장 선행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라고 강조했다. 

mylife1440@greenpost.kr

키워드

#기후·환경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