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위 "새로운 시료로 공인기관에서 재검증"

환경단체가 공표한 영풍제련소 토양오염 시험성적서(대구환경련 제공)2018.8.13/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단체가 공표한 영풍제련소 토양오염 시험성적서(대구환경련 제공)2018.8.13/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주현웅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소재 영풍제련소의 토양오염 문제를 둘러싼 진실공방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대구환경운동연합(대구 환경련)과 영풍제련소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공개한 석포제련소 토양조사 결과의 신뢰성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대구 환경련과 공대위는 지난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영풍제련소 인근에 대한 하천바닥 토양조사 결과 카드뮴이 기준치의 179배가량 검출됐다는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비소와 납도 기준치의 각각 34배, 33.7배가량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당 조사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토양이 이 같은 오염수치를 보이는 게 지나치게 비현실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시료를 채취한 장소가 정광(자연광석을 높은 품위로 가공한 광석) 보관창고였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러한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 오염토? 정광? “객관성 없어…공표해선 안 됐는데”

13일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공대위 등이 발표한 조사 결과는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보인다. 전문가 입회 없이 실시된 조사인데다가 그 결과마저 오염토가 아닌 정광에서 시료를 추출했기 때문이다.

모 토양정화업체 관계자는 “아무리 땅이 오염됐어도 카드뮴의 경우 1㎏당 1790㎎, 비소도 1㎏당 1723㎎씩 나오는 것은 오염토에서는 도저히 나올 수 없는 수치”라며 “아무래도 정광에서 시료를 추출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도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수준의 오염 결과치는)아연 정광에서 시료를 채취한 수준으로, 오염토에 그대로 흩어진 결과물을 조사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토양오염 공정 시험 기준에 따라 채취했겠지만 전문가 입회는 이뤄졌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 입회는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공대위가 공표한 자료를 발행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관계자는 “그 자료는 의뢰업체가 가져온 시료만을 조사한 결과”라며 “대표성을 띄지 못해 홍보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비고란에 기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해당 자료의 의뢰업체가 공대위가 아닌 Y기업으로 드러나 논란이 예상된다. 이 기업은 영풍제련소에 10여년 간 정광을 실어 나르던 물류업체다. 이곳 대표는 과거 석포면 상가번영회장을 맡았던 유모씨로 석포제련소 3공장 건설에 앞장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석포면 주민들로 구성된 ‘석포면현안대책위원회’ 한 위원은 “유씨는 영풍제련소 문제와 관련해 입장을 숱하게 바꿔왔다”며 “환경단체도 그를 신뢰하기 어려울 텐데 갑자기 함께 움직이는 행보가 아무래도 이상하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 공대위 "시료 채취 정광 보관창고에서…새 조사 나설 것"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면서 공대위 측은 시료를 채취한 곳이 실제로 정광 보관창고라고 밝혔다. 다만 자료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으며, 추후 관계자 입회하에 새로운 시료를 채취해 공인분석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신기선 공대위 위원장은 “영풍제련소의 특정 위치에서 일부의 시료만 채취했다는 이유로 자료의 신뢰성을 의심하는 시각도 이해는 한다”면서 “하지만 채취장소인 정광창고는 낙동강과 매우 인접한 시설로서 수질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곳”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토양 오염도 조사를 Y기업을 통해 의뢰한 것은 비용문제가 따랐기 때문”이라며 “환경운동가들이 전부 개인 비용을 써가며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Y기업의 도움이 있었기에 조사에 나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대위는 석포제련소 토양의 오염도에 대한 추가 조사를 의뢰할 계획”이라며 “이미 봉화군 관계자 입회하에 지난 9일 시료를 채취했으며 이에 대한 검증도 보다 공인된 기관으로 선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chesco12@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