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를 우려했다. 사진은 2016년 금융·경제 상황 점검회의 때 이 총재 모습.(ytn캡처)2018.6.4/그린포스트코리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를 우려했다. 사진은 2016년 금융·경제 상황 점검회의 때 이 총재 모습.(ytn캡처)2018.6.4/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주현웅 기자] 이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급격한 자본이동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냈다.

이 총재는 4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각국의 금융과 교역이 긴밀하게 연계돼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2013년 미국의 테이퍼 텐트럼(긴축 발작)을 사례로 들며 우려감의 근거를 설명했다. 긴축 발작이란 선진국의 양적 완화 축소 정책이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을 불러오는 현상을 뜻한다.

그는 "2013년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의 신호는 신흥국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했다"면서 "최근에도 미국 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가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의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또 중립금리가 금융위기 이전보다 대폭 낮아진 점도 우려했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경제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이론적 금리수준을 말한다.

이 총재는 "중립금리가 낮아지면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했을 때 정책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든다"며 "결국 정책금리가 하한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져 경기변동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러면서 중립금리가 낮아진 배경으로 인구고령화, 생산성저하, 안전자산 선호 성향 등 주로 장기 추세적 요인을 꼽았다. 또한 앞으로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 같이 변화한 환경 속에서도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며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에 도달했을 때 대규모 자산매입과 마이너스 금리 등 비전통적인 정책수단을 동원했던 만큼 이 수단들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재정정책을 완화적 통화정책과 함께 확장적으로 운영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거시경제의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한편, 시장에선 현재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12∼1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hesco12@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