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에코시티서울’ 이동현 대표 인터뷰

우리 사회는 몇 차례 환경의 역습을 당했다. 가습기 살균제, 여성용품, 화장품, 물티슈 등 일상 용품에서 유해물질이 발견됐다. 다중이용시설, 회사 사무실, 심지어 아이들의 교실에서도 반(反) 환경 물질들이 검출된다. 여기에 바깥으로 나가면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등 곳곳에서 반환경적인 것들과 마주한다.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친환경을 추구하는 이유다. 이에 <그린포스트코리아>는 친환경 기업과 친환경 현장에서 직접 뛰고 있는 이들을 찾아 나섰다. 그리고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함께 공유해본다. [편집자주]

[그린포스트코리아 권오경 기자] ‘에코시티서울’(대표 이동현)은 서울시에서 배출되는 폐전자제품을 새로운 자원으로 재탄생시킨다.

가정에서 버려지는 소형 폐가전제품과 폐휴대폰, 공공기관의 전자제품 불용물품들은 SR센터(Seoul Resource center)에서 해체, 선별, 파쇄 과정을 거쳐 재활용 가능한 원료로 탈바꿈된다. SR센터는 에코시티서울이 위탁운영하고 있는 시설로, 폐금속자원 재활용 사업 추진을 목적으로 서울시가 2009년에 설립했다.

폐전자제품이 재활용되는 과정.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폐전자제품이 재활용되는 과정.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이동현 에코시티서울 대표에 따르면 SR센터가 설립되기 전만 해도 국내에서 배출되는 폐전자제품에 대한 통계자료 조차 없었다. 이 때문에 이 대표는 당시 ‘지자체가 직접 관리하는 폐기물 처리업체를 만들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고 (사)자원순환사회연대와 공동으로 서울시에 재활용 사업을 제안했다.

이후 SR센터 시설이 마련됐고 이를 위탁 운영하기 위해 사회적기업인 '에코시티서울'이 탄생했다.

에코시티서울 사업장모습.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에코시티서울 사업장모습.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성·사회성·수익성’ 삼박자가 어우러진 ‘에코시티서울’

폐가전제품은 경제적 가치가 높지만 환경적으로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리를 중심으로 한 기업적 방식보다 공공성을 기준으로하는 안전한 자원관리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이 대표의 생각이다.

그는 "지자체와 사회적기업이 협동으로 재활용사업을 진행하면 민간기업에 위탁하는 것보다 더 많은 파트너십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서 "중소형 폐전자제품이나 폐비닐과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품목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사회적경제 파트너십을 강화해 공공성과 지역 내 일자리를 함께 창출하는 윈-윈의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재활용사업을 민간기업에게 위탁하게 되면 지역주민과 지역단체가 서로 협력해서 풀어보려는 노력이 나오기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자체와 에코시티서울의 콜라보레이션이 가져다주는 가치는 다양하다. 폐전자제품 재활용처리를 통해 자원순환형 사회를 구축하고, 지자체 재활용행정과 고용창출을 결합시킨다. 또한 전자제품 재활용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사회적기업 간 상부상조로 수익구조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교육, 체험의 장을 마련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전환을 유도한다. 

이처럼 에코시티서울은 환경성과 사회성, 수익성을 모두 함께 추구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라고 이 대표는 강조했다.

특히 에코시티서울은 외부 기관과 연계해 4가지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강의와 전문가 과정, 현장학습 그리고 체험활동 등이다.

학생들을 위한 강의는 아름다운가게, 하수도과학관, 에코시티서울이 함께 연계해 '새활용플라자'에서 진행하고 있다. 이는 재활용 분류방법이나 실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등 정보를 전달하는 강의다. 전문가 강좌는 환경분야 기관으로부터 자문을 받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이 대표가 직접 이끌고 있다.

현장학습의 경우 신청자들은 SR센터 견학을 통해 어떤 공정을 거쳐 폐기물이 재활용되는지를 배우게 된다. 체험학습은 '업사이클링'(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 수업에 참여해 재활용에 대한 인식제고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동현 에코시티서울 대표가 전문가 강좌를 진행중이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이동현 에코시티서울 대표가 전문가 강좌를 진행중이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폐기물 재활용 공정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의 견학프로그램이 진행중이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에코시티서울이 운영하는 견학 프로그램이 진행중이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에코시티서울은 저소득층이나 한부모가정, 인근의 지역자활센터와 노숙인쉼터를 이용하는 소외계층을 우선채용하고 있다. 현재 에코시티서울에서 일하는 직원 54명 중 37명이 취약계층으로, 전체 66%를 차지한다. 에코시티서울은 장애인단체 등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사업운영에 필요한 모든 소비재 및 식품을 사회적기업에서 구매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인 ‘행복도시락’에서 점심을 주문하고 청소방역사회적기업인 ‘인스케어’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에코언니야’에서는 업사이클링 제품인 현수막으로 만든 앞치마와 토시를 구매했다.

이 대표는 "사회적기업의 전년도 매출이 총 2조원이 넘는데 그 중에는 내부시장에서 얻는 이익이 굉장히 크다”면서 "지자체나 시민에게 구매를 요구하기보다 사회적기업이 먼저 구매하는 모범을 보이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지자체가 통합적인 폐기물 재활용처리시스템 구축해야

민간업체가 재활용 시장에서 얻는 수익이 좋지 않을 경우 공공기관인 에코시티서울에게 위탁되는 폐기물 양은 어마어마하다. 한 사람이 종일 일해도 두 자루의 폐기물을 소화하기 어려운데 그나마 재활용시장 상황이 좋을 때는 평균 약 1만개의 포대자루가 수거된다. 이는 1900톤 정도의 물량이다. 하지만 재활용시장이 얼어붙으면 반대로 물량은 크게 늘어난다. 지난해 1년간 들어온 물량은 포대자루로 약 1만 7000개(3480톤), 건물 높이로 350층에 달한다. 

에코시티서울 직원이 해체작업을 하고 있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에코시티서울 직원이 해체작업을 하고 있다.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폐기물이 들어있는 포대자루.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폐기물이 들어있는 포대자루.2018.5.11/그린포스트코리아

이 대표는 "일정한 패턴없이 불안정한 재활용 사업이 진행되면 예상치 못한 양의 폐기물이 사회경제적기업으로 들어오게 되고 당연히 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지자체 차원에서 좀 더 안정적으로 재활용 사업을 관리·지원하는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그래야 얼마전 있었던 ‘재활용대란’과 같은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현재 폐전자제품에 대한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직접 폐기물을 수거하고 선별, 처리하는 체계를 갖춘 건 서울시와 부산시 뿐"이라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폐기물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수거·선별 체계를 갖추고 지속가능한 재활용처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roma201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